증권
[마켓레이더] 정책을 뜯어보면 주가가 보인다
입력 2013-12-12 17:10 
월가에서는 "연방준비제도(Fed)와 맞서지 마라(Don't fight the Fed)"는 유명한 격언이 있다. 이는 "미국 중앙은행의 의중과 반대로 움직일 경우 손실을 볼 가능성이 높다"는 강한 메시지가 담겨 있는데, 비단 미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
이명박정부 시절 원유를 포함한 여러 원자재의 가격이 많이 올랐지만 정부는 물가 안정 차원에서 전기료에 원가를 반영하지 못하고 지속 동결을 할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한국전력은 올해까지 6년 연속 적자를 낼 수밖에 없었고 한때 시가총액 13조원, 주가순자산비율(PBR) 0.2배까지 하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전기료가 선진국 대비 3분의 1 수준이다 보니 한국전력은 일방적인 피해를 입게 되었으며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기업들이 한국전력의 기업가치를 뺏어갔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였다. 하지만 2011년 이후 전기료를 5차례 인상했으며, 전기요금에 대한 정부의 입장도 과거와 많이 달라진 점을 감안하면 향후 한국전력은 정상 기업으로서의 가치로 돌아갈 수 있을 전망이다.
에너지 가격 및 전기료 상승의 이유로 전 세계 정부가 공통적으로 추진하는 정책 중 하나인 '에너지 절감'을 꼽을 수 있다. EU가 2008년 발표한 방안에 따르면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20%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을 20% 높이며 재생 가능한 에너지의 비중을 20% 증가시키기로 했다. 미국은 1993년에 친환경 건자재 인증 시스템인 'LEED'를 도입하여 건물의 에너지 절감 수준을 평가해 등급을 부여하고 있으며, 일본도 2004년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인 'CASBEE'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 영국의 단열재 시장은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10.7% 성장하였으며, 미국의 친환경 건자재 시장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연평균 1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 인증에 관한 규칙 제정안'을 2013년 2월 시행하여 신축 공동주택과 업무용 건축물에만 적용되었던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이 모든 용도의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에까지 확대 적용되었다. 이러한 정책적 흐름을 감안할 때 국내 건자재 시장이 커질 것은 자명해 보인다.
정부의 규제가 심화되거나 완화되는 업종, 정부 정책상 성장하거나 축소될 수밖에 없는 산업이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정부의 규제와 정책에 항상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원종준 라임투자자문 대표]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