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노조 조직률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전투적인 파업 관행으로 인한 국민 불신의 증대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고 합니다.
정규해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기업들의 노조 조직률은 10.3%.
관련 통계가 발표되기 시작한 지난 1977년 이후 최저치입니다.
이같은 수치는 해외 다른나라들과 비교해 볼 때도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수출 경쟁국인 대만의 경우 노조조직률이 37%이고 싱가포르가 25%, 일본과 미국도 각각 18.7%와 12.5%로 우리보다 높습니다.
노동조합과 조합원의 수도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지난해 노동조합의 수는 5천 971개로 전년에 비해 46개가 줄었고, 조합원 수도 3만 6천여명이 줄어든 150만 6천여명을 기록했습니다.
한국노총이나 민주노총 등 상급단체에 가입하지 않는 미가맹노조의 수도 큰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상급단체 미가맹노조의 수는 천177개, 조합원 수는 9만3천547명으로 나타나 전년에 비해 조합 수는 130개, 조합원 수는 5천 24명이 늘었습니다.
이와관련해 전문가들은 전투적인 파업 관행으로 인해 국민들의 불신감이 증대되면서 노조 조직과 가입자 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mbn뉴스 정규해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투적인 파업 관행으로 인한 국민 불신의 증대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고 합니다.
정규해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기업들의 노조 조직률은 10.3%.
관련 통계가 발표되기 시작한 지난 1977년 이후 최저치입니다.
이같은 수치는 해외 다른나라들과 비교해 볼 때도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수출 경쟁국인 대만의 경우 노조조직률이 37%이고 싱가포르가 25%, 일본과 미국도 각각 18.7%와 12.5%로 우리보다 높습니다.
노동조합과 조합원의 수도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지난해 노동조합의 수는 5천 971개로 전년에 비해 46개가 줄었고, 조합원 수도 3만 6천여명이 줄어든 150만 6천여명을 기록했습니다.
한국노총이나 민주노총 등 상급단체에 가입하지 않는 미가맹노조의 수도 큰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상급단체 미가맹노조의 수는 천177개, 조합원 수는 9만3천547명으로 나타나 전년에 비해 조합 수는 130개, 조합원 수는 5천 24명이 늘었습니다.
이와관련해 전문가들은 전투적인 파업 관행으로 인해 국민들의 불신감이 증대되면서 노조 조직과 가입자 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mbn뉴스 정규해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