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라진 회의록] 국가기록원 툭하면 '낙하산 인사'
입력 2013-07-21 20:00  | 수정 2013-07-21 21:04
【 앵커멘트 】
역대 국가기록원장 임명은 이른바 자리 나눠먹기식이나 낙하산 인사 성격이 강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전문성 부족은 물론이고 정권의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습니다.
김명준 기자입니다.


【 기자 】
현 박경국 원장을 비롯한 역대 국가기록원 수장들 상당수는 옛 행정안전부, 지금의 안전행정부 출신들이 꿰찼습니다.

지난해 11월 9번째 국가기록원장에 임명된 박경국 원장은 충북 행정부지사와 행안부 기업협력지원관을 지낸 대표적인 관료 출신입니다.

전임이었던 송귀근, 이경옥 전 원장은 각각 행시 23회와 25회로 모두 안전행정부 출신입니다.

국가기록원 산하 기관인 대통령기록관장은 늘 정권의 입맛에 맞는 사람들로 채워져 문제가 됐습니다.


대통령기록관장 임기는 5년이지만 청와대 출신 인사 임명으로 정치적 논란을 자초했고 결국 임기를 채우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됐습니다.

초대 관장인 임상경 전 관장은 참여정부 당시 청와대 기록관리비서관 출신이고, 2대 관장인 김선진 전 관장은 이명박 정부 때 청와대 행정관을 지낸 인물입니다.

현재 대통령기록관장 자리는 비어있는 상태입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가기록원을 제도적으로 독립시킬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국가기록원이 안전행정부 산하 기관인 현실에서는 안행부 출신 공무원들이 요직을 채워 전문가들이 활동할 공간이 축소될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이런 차원에서 국가기록원을 안전행정부 외청으로 독립시키거나 별도의 위원회로 격상시키자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습니다.

MBN뉴스 김명준입니다.

영상편집 : 양재석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