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안보리, 대북제재 논의 난항
입력 2006-10-12 10:07  | 수정 2006-10-12 12:53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국제사회는 일제히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지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는 대북 제재를 둘러싸고 이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습니다.
제재결의안에 대한 최종 합의는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김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핵실험에 따른 대북 제재 결의 채택을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논의가 난항을 겪으면서 조기 타결에 대한 전망이 불확실해지고 있습니다.

안전보장이사회는 현지시간으로 11일, 5개 상임이사국과 순회의장국인 일본 대표가 참가하는 대사급 회의와 전문가 회의를 병행하며 사흘때 협의를 계속했지만 이견을 좁히는데 실패했습니다.

미국과 일본 등 강경파는 유엔 헌장 7장의 포괄적인 원용을 비롯한 강력한 제재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부시 / 미국 대통령
- "결의안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기술 수출을 막기 위한 조치를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한다."

부시 대통령은 북한 선박 입출항 금지 등 더욱 강력한 제재를 촉구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에 대한 무력사용 가능성은 일축했습니다.

인터뷰 : 부시 / 미국 대통령
- "이 문제를 주변국들과 함께 외교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 중국와 러시아가 가담한 신중파는 무력제재 가능성을 열어 둘 수 있는 헌장 7장의 포괄적 원용을 반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북한 핵실험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내세우며 시작한 안보리 논의가 당초 기대와는 달리 길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단, 미국과 영국, 프랑스, 일본이 중국측 주장을 고려한 새로운 결의안 수정안을 내놓을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조기 타결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mbn뉴스 김희경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