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카카오톡이라고 들어 보셨을 겁니다.
스마트폰 무료 문자 전송 서비스 상품인데, 국민 메신저로까지 불리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 카카오톡의 상승세는 무섭습니다.
지난 2010년 3월 첫 서비스를 시작한 카카오톡은 불과 2년여 만에 가입자 4천600만 명을 넘어섰고, 하루 평균 2천만 명 이상이 사용합니다.
한 IT 전문 매체로부터 세계 최고의 무료 문자서비스 앱으로 선정되기도 했는데요.
이런 카카오톡이 이제 전화기와 똑같은 음성통화 서비스를 무료로 시작했습니다. 이동통신회사들 강력 반발하고 있습니다.
노경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카카오톡이 음성통화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소식에 이용자들은 반색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김태영 / 서울 도봉구
- "아무래도 무료다 보니까 더 카카오톡 쪽으로 사용할 것 같아요."
▶ 인터뷰 : 윤찬민 / 경기 고양시
- "아직 사용해 본 적은 없는데 만약에 한다면 계속 사용할 것 같아요."
▶ 스탠딩 : 노경열 / 기자
- "또한 시민들은 한 발 더 나아가 음성통화 품질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졌는데요, 실제 통화를 한 번 시도해 보겠습니다. "
<제 목소리 잘 들리시나요? 좀 끊기는 것 같습니다.>
통화 연결은 어렵지 않지만 중간에 대화가 끊기거나 일반 전화가 걸려오면 아예 통화가 종료되는 문제거 있습니다.
카카오 측은 오히려 이런 단점을 강조합니다.
음성통화 서비스가 절대 기존 전화를 대신할 수 없다며 이통사들의 반발을 수습하려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모바일 메신저의 등장으로 단문메세지 전송량 감소 등의 영향을 받았던 이동통신업계는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전성철 / SK텔레콤 홍보팀장
- "정책적 틈새를 이용해 통신망에 무임승차하는 것은 매년 수조 원의 투자를 하는 통신사의 존립기반을 흔드는 것입니다."
데이터량 폭주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 했을 때의 책임소재 역시 문제점으로 지적했습니다.
무료 인터넷전화 서비스에 대한 정부의 가이드라인마저 없는 상황에서 이통업계와 카카오톡의 갈등은 쉽게 봉합되지 않을 전망입니다.
MBN뉴스 노경열입니다.
카카오톡이라고 들어 보셨을 겁니다.
스마트폰 무료 문자 전송 서비스 상품인데, 국민 메신저로까지 불리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 카카오톡의 상승세는 무섭습니다.
지난 2010년 3월 첫 서비스를 시작한 카카오톡은 불과 2년여 만에 가입자 4천600만 명을 넘어섰고, 하루 평균 2천만 명 이상이 사용합니다.
한 IT 전문 매체로부터 세계 최고의 무료 문자서비스 앱으로 선정되기도 했는데요.
이런 카카오톡이 이제 전화기와 똑같은 음성통화 서비스를 무료로 시작했습니다. 이동통신회사들 강력 반발하고 있습니다.
노경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카카오톡이 음성통화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소식에 이용자들은 반색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김태영 / 서울 도봉구
- "아무래도 무료다 보니까 더 카카오톡 쪽으로 사용할 것 같아요."
▶ 인터뷰 : 윤찬민 / 경기 고양시
- "아직 사용해 본 적은 없는데 만약에 한다면 계속 사용할 것 같아요."
▶ 스탠딩 : 노경열 / 기자
- "또한 시민들은 한 발 더 나아가 음성통화 품질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졌는데요, 실제 통화를 한 번 시도해 보겠습니다. "
<제 목소리 잘 들리시나요? 좀 끊기는 것 같습니다.>
통화 연결은 어렵지 않지만 중간에 대화가 끊기거나 일반 전화가 걸려오면 아예 통화가 종료되는 문제거 있습니다.
카카오 측은 오히려 이런 단점을 강조합니다.
음성통화 서비스가 절대 기존 전화를 대신할 수 없다며 이통사들의 반발을 수습하려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모바일 메신저의 등장으로 단문메세지 전송량 감소 등의 영향을 받았던 이동통신업계는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전성철 / SK텔레콤 홍보팀장
- "정책적 틈새를 이용해 통신망에 무임승차하는 것은 매년 수조 원의 투자를 하는 통신사의 존립기반을 흔드는 것입니다."
데이터량 폭주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 했을 때의 책임소재 역시 문제점으로 지적했습니다.
무료 인터넷전화 서비스에 대한 정부의 가이드라인마저 없는 상황에서 이통업계와 카카오톡의 갈등은 쉽게 봉합되지 않을 전망입니다.
MBN뉴스 노경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