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납세자연맹은 "한국인의 PPP, 구매력평가지수를 고려한 무연 휘발유 가격은 OECD 평균의 2.4배 수준에 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납세자연맹은 "정부가 지난해 구매력 기준 1인당 소득이 3만 달러를 넘었다고 발표한 만큼, 서민 고통의 주범인 유가와 유류세도 구매력 지수로 따져야 한다"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2010년 말 PPP를 고려한 한국의 휘발유 값 수준은 미국의 2.8배, 호주의 2.5배이며 OECD 평균의 2.4배 수준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연맹은 또 "정부가 우리나라의 유류세 비중이 OECD 평균보다 낮다는 논리로 다수 국민의 유류세 인하 요구에 맞서고 있는데 이는 기만행위"라고 반박했습니다.
납세자연맹은 "정부가 지난해 구매력 기준 1인당 소득이 3만 달러를 넘었다고 발표한 만큼, 서민 고통의 주범인 유가와 유류세도 구매력 지수로 따져야 한다"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2010년 말 PPP를 고려한 한국의 휘발유 값 수준은 미국의 2.8배, 호주의 2.5배이며 OECD 평균의 2.4배 수준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연맹은 또 "정부가 우리나라의 유류세 비중이 OECD 평균보다 낮다는 논리로 다수 국민의 유류세 인하 요구에 맞서고 있는데 이는 기만행위"라고 반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