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건축학개론의 승민(엄태웅)에게 서연(한가인)은 추억이긴 하지만, 끝까지 좋았던 기억은 아니었다. 서연이 그를 찾아오기 전까지는.
건축학과 1학년 새내기 승민(이제훈)의 마음을 사정없이 뒤흔들어 놓았던 서연(수지)이다. 15년이 지나 서연은 자신이 살던 과거의 제주도 집을 새로 지어달라며 건축가가 된 그의 앞에 나타나 추억을 떠올리게 한다.
건축학을 이해하기 위해 동네를 돌아다니고, 때로는 동네를 떠나 조금은 먼 곳에서 CD플레이어에서 흘러나오는 전람회의 ‘기억의 습작을 들으며 추억을 공유한다. 승민이 ‘네가 좋다며 용기 내 사귀자는 말을 건네려할 때쯤, 오해가 생기고 두 사람은 다시 만나기까지 오랜 세월을 기다려야 했다. 여자는 이미 결혼을 했다 헤어졌고, 남자는 결혼을 앞둔 상태다.
‘건축학개론은 20살의 풋풋한 시절과 15년이 지난 현재를 오가는 이야기 구조를 가진다. 서연의 집을 지어주며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고 과거의 잃어버린(혹은 추억으로 남기고 싶은) 기억은 집을 완성해 나가는 것과 동시에 퍼즐처럼 맞춰진다.
영화는 한가인과 수지의 미모, 엄태웅과 이제훈의 훈훈한 외모를 보는 것만도 남녀 관객을 기대하게 하게 하는데 소재와 이야기, 배우들의 연기도 어느 것 하나 꼬집을 데가 없다.
화자(話者)가 없다는 점도 똑똑하다. 서연의 이야기로 시작하는 듯 하더니 어느새 승민의 감정이 녹아있다. 물론 관객은 헷갈릴지 않는다. 어느새 자신의 성별에 맞게 이야기에 빠져든다.
단조로울 것 같은 이야기라고 생각할지 모른다. 하지만 서로의 마음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던 첫사랑의 보편적인 감성을 충실히, 어떤 개인에게는 너무도 절실하게 가슴에 와 닿게 한다. ‘삐삐를 사용해 보지 않은 세대들이 괴리감을 느낄 수도 있지만, 첫사랑이라는 감정이 모든 것을 상쇄할 것 같다.
첫사랑의 기억을 되짚다 보면 또 빠질 수 없는 건 오해라는 단어다. 사랑에 무지해서 생기기도 하고, 상대를 다 안다고 착각에서 나타나는 녀석. ‘건축학개론에서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영화는 애틋했던 마음의 진실을 알려주며 승민에게 단 한마디 나쁜 욕 ‘썅X으로 기억됐던 서연의 추억을 완전하게 만들어줬다.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진현철 기자 jeigun@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