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여론조사 위장한 보이스피싱 '주의보'
입력 2012-01-27 22:26  | 수정 2012-01-28 09:21
【 앵커멘트 】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 규모가 900억 원에 달했습니다.
1년 전보다 59%가 늘었는데 올해도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입니다.
어떤 점을 조심해야 하는지 안보람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기자 】
얼마 전 검찰을 사칭해서 대출을 받게 하고, 순식간에 돈을 빼내는 카드론 보이스피싱이 유행했는데요.

「지난해 등장한 신종 사기인데, 11월까지 경찰에서 집계한 피해건수만 2천 건에 달합니다.」

「신종 사기가 등장하면서 전체 보이스피싱 피해도 크게 늘었는데요. 」

매년 새로운 수법들이 나오는데 올해도 예외일 수 없습니다.

크게 세 가지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먼저 총선과 대선 정국을 이용한 여론조사 사기를 주의해야 합니다.」

▶ 인터뷰 : 김자봉 /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 "(총선 즈음에는) 굉장히 관련된 전화를 많이 받는데 그런 분위기 속에서 어느 전화가 정말 여론조사를 목적으로 하는 전화인지 가짜 전화인지 판단하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또 대출금을 상환하라거나 분양대금을 입금하라는 요구도 조심해야 합니다.」

「지난해 피해가 많았던 카드론처럼 창구를 찾아가지 않아도 대출이 되는 상품들도 범죄자들의 먹잇감이 될 수 있습니다. 」

보이스피싱에 당했다고 하면 대부분 '바보같이 왜?'라는 반응을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는 다르죠.

깜쪽같이 속을 수 있습니다.

▶ 인터뷰 : 이대원 / 보이스피싱 피해자소송모임 대표
- "본인의 개인정보 이름, 주소, 주민등록번호, 심지어 직업, 직책까지 다 알고, 특히 정부기관인 검찰청, 경찰청, 금융기관을 사칭해 수사에 협조해달라는 명목 하에 접근을 해옵니다. 국민의 한 사람으로 거절하기 힘든 부분이 있고요."

수사당국과 금융당국은 본인이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만 반복하고 있는데요.

그만큼 범인 잡기 힘들고, 수법도 다양하다는 겁니다.

당국에서 미리 범죄를 막아줬으면하는 기대를 해보지만, 억울한 일을 피하려면 스스로 예상되는 신종 수법을 꼭 알고 계셔야 하겠습니다.

MBN뉴스 안보람입니다.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