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올해 우리 경제가 어느 해보다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 여러번 전해드렸는데요.
특히 유럽 위기와 북한 리스크 때문에 상반기가 고비라고 합니다.
보도에 정성욱 기자입니다.
【 기자 】
「영국의 시사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2012 세계전망'에서 올해 세계 경제는 유럽 재정위기로 위험에 내몰릴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해외 변수에 취약한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닙니다.
▶ 인터뷰 : 김석동 / 금융위원장 (MBN 출연)
- "우리 금융시장이 상당히 변동성에 노출될 것이라는 우려가 한가지 있고, 다른 한 가지는 세계 경제의 위축 때문에 국내 실물경제가 상당히 어려워질 수 있다."
「외국계 투자은행들의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3.4%.
특히, UBS는 1.9%를 제시해, 정부 전망치보다 1.8% 포인트 낮았습니다.」
민간 연구기관 중 가장 낙관적으로 전망한 현대경제연구원보다는 2% 포인트 이상 낮은 수치입니다.
▶ 스탠딩 : 정성욱 / 기자
- "특히 세계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지난해 우리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한 수출도 증가율이 한자릿수에 머물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하지만, 유럽 위기가 상반기에 정점을 찍고 조금씩 나아진다면 하반기부터는 다시 성장궤도에 들어설 것이란 분석도 나왔습니다.
「정부는 올해 소비자 물가가 3.2%, 외국 투자은행들은 3.1%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여기에다 국제 신용평가사인 피치가 한국의 신용 등급을 올리겠다고 시사한 만큼 하반기 성장세 가능성이 점쳐지는 이유입니다.
MBN뉴스 정성욱입니다.
올해 우리 경제가 어느 해보다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 여러번 전해드렸는데요.
특히 유럽 위기와 북한 리스크 때문에 상반기가 고비라고 합니다.
보도에 정성욱 기자입니다.
【 기자 】
「영국의 시사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2012 세계전망'에서 올해 세계 경제는 유럽 재정위기로 위험에 내몰릴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해외 변수에 취약한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닙니다.
▶ 인터뷰 : 김석동 / 금융위원장 (MBN 출연)
- "우리 금융시장이 상당히 변동성에 노출될 것이라는 우려가 한가지 있고, 다른 한 가지는 세계 경제의 위축 때문에 국내 실물경제가 상당히 어려워질 수 있다."
「외국계 투자은행들의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3.4%.
특히, UBS는 1.9%를 제시해, 정부 전망치보다 1.8% 포인트 낮았습니다.」
민간 연구기관 중 가장 낙관적으로 전망한 현대경제연구원보다는 2% 포인트 이상 낮은 수치입니다.
▶ 스탠딩 : 정성욱 / 기자
- "특히 세계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지난해 우리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한 수출도 증가율이 한자릿수에 머물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하지만, 유럽 위기가 상반기에 정점을 찍고 조금씩 나아진다면 하반기부터는 다시 성장궤도에 들어설 것이란 분석도 나왔습니다.
「정부는 올해 소비자 물가가 3.2%, 외국 투자은행들은 3.1%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여기에다 국제 신용평가사인 피치가 한국의 신용 등급을 올리겠다고 시사한 만큼 하반기 성장세 가능성이 점쳐지는 이유입니다.
MBN뉴스 정성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