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이번 주택 붕괴사고는 담당 구청에 신고도 하지 않고 불법으로 공사를 하다 일어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지난달 천호동에서 발생한 상가 건물 붕괴 사고 뒤 한 달 만에 똑같은 일이 벌어져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어서 박통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지난달 20일, 리모델링 공사를 하다 3층짜리 건물이 무너져버린 서울 천호동 상가 붕괴 사고.
담당 구청에 신고도 하지 않은 채 무리하게 공사를 진행하다 결국 2명의 근로자가 목숨을 잃었습니다.
1960년대에 지어진 낡은 건물인데도, 안전장치를 제대로 갖추지 않은 채 공사를 밀어붙였습니다.
비용을 줄이려고 규정에 못 미치는 임시 지지대를 적게 설치한 것이 화를 불렀습니다.
이번 서울 창동 주택 붕괴 사고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지어진 지 31년이 지난 건물인데도 리모델링 공사를 하면서 구청에 신고도 하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공사 능력이 검증되지 않은 미등록 업체에 싼 값으로 공사를 맡겼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인터뷰 : 김문환 / 서울 도봉구청 방재치수과장
- "시공업체 없이 인부를 사서 시공을 하다가 발행한 사고로, 벽체 주변에 보강 시설들이 부족한 상태에서 시공하다…"
결국 리모델링 공사가 별것 아닌 작은 공사라고 생각한 것이 생각한 것이 문제였습니다.
전문가는 리모델링 공사도 큰 공사기 때문에 정해진 절차를 거쳐 평가를 받고 안전하게 공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 인터뷰(☎) : 김광배 /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 "리모델링 공사가 구조체에 영향을 끼치는 대규모 공사일 경우 정식허가를 얻어 구조적인 점검을 통해 실시하는 것이 안전한 공사를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시간과 비용이 조금 더 들더라도 적법한 절차를 거쳐 공사를 하는 것이 사고를 막는 지름길입니다.
MBN 뉴스 박통일입니다.
이번 주택 붕괴사고는 담당 구청에 신고도 하지 않고 불법으로 공사를 하다 일어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지난달 천호동에서 발생한 상가 건물 붕괴 사고 뒤 한 달 만에 똑같은 일이 벌어져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어서 박통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지난달 20일, 리모델링 공사를 하다 3층짜리 건물이 무너져버린 서울 천호동 상가 붕괴 사고.
담당 구청에 신고도 하지 않은 채 무리하게 공사를 진행하다 결국 2명의 근로자가 목숨을 잃었습니다.
1960년대에 지어진 낡은 건물인데도, 안전장치를 제대로 갖추지 않은 채 공사를 밀어붙였습니다.
비용을 줄이려고 규정에 못 미치는 임시 지지대를 적게 설치한 것이 화를 불렀습니다.
이번 서울 창동 주택 붕괴 사고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지어진 지 31년이 지난 건물인데도 리모델링 공사를 하면서 구청에 신고도 하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공사 능력이 검증되지 않은 미등록 업체에 싼 값으로 공사를 맡겼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인터뷰 : 김문환 / 서울 도봉구청 방재치수과장
- "시공업체 없이 인부를 사서 시공을 하다가 발행한 사고로, 벽체 주변에 보강 시설들이 부족한 상태에서 시공하다…"
결국 리모델링 공사가 별것 아닌 작은 공사라고 생각한 것이 생각한 것이 문제였습니다.
전문가는 리모델링 공사도 큰 공사기 때문에 정해진 절차를 거쳐 평가를 받고 안전하게 공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 인터뷰(☎) : 김광배 /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 "리모델링 공사가 구조체에 영향을 끼치는 대규모 공사일 경우 정식허가를 얻어 구조적인 점검을 통해 실시하는 것이 안전한 공사를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시간과 비용이 조금 더 들더라도 적법한 절차를 거쳐 공사를 하는 것이 사고를 막는 지름길입니다.
MBN 뉴스 박통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