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공공기관 신입사원들의 임금이 다시 단계적으로 인상됩니다.
세계 금융위기 당시 민간기업과 임금 격차를 줄이려고 삭감했던 임금이 이제는 민간기업보다도 낮아졌기 때문인데요.
강나연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 기자 】
지난 2009년 금융 위기 당시 공공기관은 대졸 신입사원 초임을 최대 30%까지 삭감했습니다.
명분은 일자리를 나누고 민간기업과의 임금 격차를 줄이겠다는 것.
공기업으로만 인력이 몰리는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기존 직원들은 고통을 분담하지 않은 채 주로 신입사원이 될 청년층에만 희생을 강요한다는 비판이 많았습니다.
또, 2010년 공공기관 대졸 초임이 민간기업보다 낮아지는 등 공공기관 내부의 공정성 문제도 제기됐습니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공공기관 신입사원들의 임금을 단계적으로 인상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009년 이후 입사한 직원들은 높게, 기존 직원들은 임금을 낮게 인상하는 이른바 '하후상박' 방식으로 격차를 줄여가겠다는 겁니다.
▶ 인터뷰 : 이채필 / 고용노동부 장관
- "2009년 이후 신입직원이 10퍼센트 미만이기 때문에 기존 직원의 임금인상률을 다소 낮추면 신입 직원과 격차 해소는가능하다 보고…. "
구체적으로는 입사 1년차는 현행대로 하되, 입사 2년차부터 3~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임금 격차를 줄여나가기로 했습니다.
적용 시기는 지난 7월분부터 소급됩니다.
MBN뉴스 강나연입니다.
공공기관 신입사원들의 임금이 다시 단계적으로 인상됩니다.
세계 금융위기 당시 민간기업과 임금 격차를 줄이려고 삭감했던 임금이 이제는 민간기업보다도 낮아졌기 때문인데요.
강나연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 기자 】
지난 2009년 금융 위기 당시 공공기관은 대졸 신입사원 초임을 최대 30%까지 삭감했습니다.
명분은 일자리를 나누고 민간기업과의 임금 격차를 줄이겠다는 것.
공기업으로만 인력이 몰리는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기존 직원들은 고통을 분담하지 않은 채 주로 신입사원이 될 청년층에만 희생을 강요한다는 비판이 많았습니다.
또, 2010년 공공기관 대졸 초임이 민간기업보다 낮아지는 등 공공기관 내부의 공정성 문제도 제기됐습니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공공기관 신입사원들의 임금을 단계적으로 인상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009년 이후 입사한 직원들은 높게, 기존 직원들은 임금을 낮게 인상하는 이른바 '하후상박' 방식으로 격차를 줄여가겠다는 겁니다.
▶ 인터뷰 : 이채필 / 고용노동부 장관
- "2009년 이후 신입직원이 10퍼센트 미만이기 때문에 기존 직원의 임금인상률을 다소 낮추면 신입 직원과 격차 해소는가능하다 보고…. "
구체적으로는 입사 1년차는 현행대로 하되, 입사 2년차부터 3~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임금 격차를 줄여나가기로 했습니다.
적용 시기는 지난 7월분부터 소급됩니다.
MBN뉴스 강나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