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한국항공우주산업 KAI는 올해 주식 상장과 정부 지분 매각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해상초계기 성능 개량사업에서 1천억 원 이상 되는 지체상금을 물게 돼 상장에 적신호가 켜졌습니다.
어떤 사정인지 이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최근 비행이 공개된 해상초계기 P-3CK입니다.
노후화된 미국 항공기 동체를 들여와 성능을 개량하는 사업을 통해 지난해 말 전력화가 마무리됐습니다.
1~2호기는 미국의 L3COM사가 성능 개량 후 납품하고 나머지 8호기까지는 이후 KAI가 기술을 이전받아 국내에서 개발했습니다.
그러나 1~2호기가 납품이 지연되면서 전체 전력화 일정이 7개월가량 늦춰졌습니다.
이에 따라 주계약자인 KAI가 사업비에 육박하는 1,800여억 원을 납품 지연 배상금 즉 지체상금으로 방사청에 물게 될 상황에 처했습니다.
방사청은 다음 달 초 군수조달분과위를 열어 지체상금 규모를 확정할 계획이라며 계약서대로 엄정하게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이에 대해 KAI는 지체상금 규모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며 지체 면제 사유가 있다는 주장입니다.
미 정부가 일부 장비에 대해 수출 승인을 미뤄 L3COM의 1~2호기 납품이 지연됐고 이에 따라 기술을 이전받아야 하는 KAI 역시 생산 일정을 늦출 수밖에 없었다는 겁니다.
▶ 인터뷰 : 김종대 / D&D포커스 편집장
- "지체상금의 발생요인이 KAI 자체에 있다기보다는 파트너인 미국회사로부터 원인이 유발됐고 이것이 협상 과정에서 지연됐다고 한다면은 이것은 사업관리에 나타날 수 있는 얼마든지 예상 가능한 위험이기 때문에 그 정도는 고려해 줄 수 있는 유연성은 있어야죠…"
정작 책임이 있는 L3COM의 지체상금은 296억 원에 불과합니다.
국내 업체는 한도 없이 계약금액의 0.15%를 지체 일수만큼 내야 하지만 외국업체는 납품 금액의 10%를 지체상금 한도로 정했기 때문입니다.
기업공개에 이은 정부 지분 매각이 대규모 지체상금으로 무산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MBN뉴스 이성수입니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는 올해 주식 상장과 정부 지분 매각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해상초계기 성능 개량사업에서 1천억 원 이상 되는 지체상금을 물게 돼 상장에 적신호가 켜졌습니다.
어떤 사정인지 이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최근 비행이 공개된 해상초계기 P-3CK입니다.
노후화된 미국 항공기 동체를 들여와 성능을 개량하는 사업을 통해 지난해 말 전력화가 마무리됐습니다.
1~2호기는 미국의 L3COM사가 성능 개량 후 납품하고 나머지 8호기까지는 이후 KAI가 기술을 이전받아 국내에서 개발했습니다.
그러나 1~2호기가 납품이 지연되면서 전체 전력화 일정이 7개월가량 늦춰졌습니다.
이에 따라 주계약자인 KAI가 사업비에 육박하는 1,800여억 원을 납품 지연 배상금 즉 지체상금으로 방사청에 물게 될 상황에 처했습니다.
방사청은 다음 달 초 군수조달분과위를 열어 지체상금 규모를 확정할 계획이라며 계약서대로 엄정하게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이에 대해 KAI는 지체상금 규모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며 지체 면제 사유가 있다는 주장입니다.
미 정부가 일부 장비에 대해 수출 승인을 미뤄 L3COM의 1~2호기 납품이 지연됐고 이에 따라 기술을 이전받아야 하는 KAI 역시 생산 일정을 늦출 수밖에 없었다는 겁니다.
▶ 인터뷰 : 김종대 / D&D포커스 편집장
- "지체상금의 발생요인이 KAI 자체에 있다기보다는 파트너인 미국회사로부터 원인이 유발됐고 이것이 협상 과정에서 지연됐다고 한다면은 이것은 사업관리에 나타날 수 있는 얼마든지 예상 가능한 위험이기 때문에 그 정도는 고려해 줄 수 있는 유연성은 있어야죠…"
정작 책임이 있는 L3COM의 지체상금은 296억 원에 불과합니다.
국내 업체는 한도 없이 계약금액의 0.15%를 지체 일수만큼 내야 하지만 외국업체는 납품 금액의 10%를 지체상금 한도로 정했기 때문입니다.
기업공개에 이은 정부 지분 매각이 대규모 지체상금으로 무산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MBN뉴스 이성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