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하의 '그런데'
[김주하의 '그런데'] 물도 새고 돈도 새고
방송 2023. 05. 25
  • +
  • 기사 스크랩하기
  • 기사 공유하기
1970년 4월 8일 새벽, 서울 마포 창전동에 있던 와우아파트가 한순간에 무너졌습니다.

서울시가 지상 5층, 15개 동 규모로 시민아파트를 준공한 지 석 달 만에 그 중 한 동이 내려앉은 건데 가파른 경사 밑에 있던 판자촌까지 덮치며, 결국 30명이 넘는 주민이 숨지고 40명이 다쳤죠.

무리한 불도저식 개발과 낮은 공사비 책정, 허술한 기초공사, 짧은 공사 기간 등 총체적인 부실이 낳은 충격적인 참사였습니다.

반세기가 지난 지금은 좀 달라졌을까요.


6개월 전 완공돼 핵심 부처가 입주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으로 가보죠.

말 그대로 새 건물인데 엘리베이터가 멈추고, 빗물이 새고, 벌써부터 올여름 집중호우나 장마를 견딜 수 있을까 걱정이 태산입니다.

또, 마감이나 도장 불량은 애교 수준,
출입문과 창문이 닫히지 않거나 엘리베이터는 있는데 이걸 불러올 버튼이 설치되지 않은 일도 있었으며, 휴게실이나 샤워실에 조명 스위치가 없어 불을 켜거나 끌 수 없는 황당한 일까지 벌어졌죠.

지금까지 드러난 하자만 무려 2천6백63건인데, 이 건물을 짓는데 총사업비 3천4백52억 원이 들었으니 공사비를 1억2,900만 원 쓸 때마다 하자 1건이 생긴 꼴입니다.

이 중앙동 건물은 부처 돈줄을 쥐고 있는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 직원 2천8백명이 근무하는 곳이라 단지 내에서도 갑 빌딩 이라 불리는 곳인데, 여기서까지 버젓이 부실시공을 할 정도라면 시공업체가 단단히 간이 부었거나 아니면 공무원들이 관리 감독을 느슨히 했거나, 이도 아니면 시공업체가 공무원들의 눈치를 보지 않아도 되는 무언가가 있었기 때문 아니었을까요.

행정안전부는 이달 말까지 보수를 완료하겠다는데, 이건 돈 아닙니까.

국민 혈세가 아니라 공직자 자기 주머니에서 나온 돈으로 건물을 지었다면 모르겠지만, 아니잖아요.

비가 줄줄 새는 공직사회를 바라보며 국민은 또, 염치 란 말을 떠올리게 됩니다.

김주하의 그런데, 오늘은 물도 새고 돈도 새고 였습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

MBN 네이버 구독 배너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