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전국 곳곳에 있는 봉안시설이 포화 상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일부 유족들이 안치 기간이 지난 유골함을 돌려받지 않으면서 문제가 불거진 건데요.
단기간에 봉안당을 늘릴 수 없으니, 정부는 산과 바다 등에 유해를 뿌리는 산분장을 대안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범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경기 수원시에 있는 한 공공 봉안시설입니다.
진열대 곳곳에 봉안·안치 기간이 만료됐다 는 알림이 붙어 있습니다.
봉안당에선 일반적으로 15년 단위로 두 차례 계약을 맺고, 기간이 지나면 유족에게 돌려주는 게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긴 시간이 흐르는 사이 유족의 발길이 끊기면서, 유해가 갈 곳을 잃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는 겁니다.
관리자들은 골머리를 앓습니다.
▶ 인터뷰 : 강용남 / 수원도시공사 장사운영팀장
- "장소는 한정돼 있고, 그래서 어떻게 처리할지 참 고민스럽습니다. 가족분들을 찾아주려고 지금 노력을…."
계약 기간이 지난 유골함만 보관해 두는 별도 공간까지 마련했는데, 이조차 조만간 꽉 찰 것이란 전망입니다.
▶ 스탠딩 : 한범수 / 기자
- "유족이 끝내 찾아가지 않은 유골은 법에 따라 여기서 합동 매장됩니다. 이곳 봉안시설에서만 3백 기 가까운 유골이 이렇게 처리될 예정입니다."
수원뿐만 아니라 부산, 광주, 원주 등에 있는 납골당들 역시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 인터뷰(☎) : 부산 지역 봉안당 관계자
- "별도로 봉안당을 증축하는 사업을 하고 있어서 아직은 크게 문제가 없지만, 저희가 영구적으로 (유골함을) 보관할 수는 없고요."
주무 부처인 보건복지부는 산과 바다, 강 등에 유해를 뿌리는 산분장 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르면 내년 1월부터 해안선으로부터 5km 떨어진 해역, 화장시설 내 특정 장소 등에 뼛가루를 뿌릴 수 있도록 세부 지침도 마련해 놓은 상태입니다.
최근 자연장·산분장에 대한 선호가 높아졌지만,
뿌려진 뼛가루가 오염을 일으킬 수 있고, 또 다른 혐오 장소를 만들 수 있다며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산분장이 자리 잡기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MBN 뉴스 한범수입니다. [han.beomsoo@mbn.co.kr]
영상취재 : 김진성 기자
영상편집 : 최형찬
그래픽 : 이새봄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