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하의 '그런데'
[김주하의 '그런데'] '검정 고무신' 비극 누구 탓인가
방송 2023. 03. 28
  • +
  • 기사 스크랩하기
  • 기사 공유하기
왜 신은 불쾌한 그림을 그릴 재능을 주셨을까요?

네덜란드가 낳은 천재 화가 빈센트 반 고흐. 생전엔 그 능력을 인정받지 못해 단 한 점의 그림밖에 팔지 못한 가난한 화가였습니다.

살아 있다는 것 자체가 고통 이란 말을 남기고 37년의 짧은 삶을 살다 간 비운의 화가였지만 지금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화가로 추앙받고 있죠.

죽어야 이슈가 될까 고민했다던 고 이우영 작가.

만화 검정 고무신 을 그려 오랜 기간 국민적 사랑을 받아온 이 작가는 저작권 분쟁에서 억울함을 호소하다 세상을 등졌습니다.


이우영 작가 사건 대책 위원회 측에 따르면 지난 15년간 이 작가는 1,200만 원 받은 게 전부입니다. 1년에 80만 원을 지급한 꼴이고 검정 고무신 작품으로 77개의 사업을 했으니 한 사업당 15만 원 정도를 받은 겁니다.

사실 이런 불공정 계약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죠. 한국콘텐츠진흥원이 펴낸 2022 웹툰 사업체, 작가, 불공정 계약 실태조사 만 봐도 웹툰 작가의 약 60%가 불공정 행위를 경험했다고 하니까요.

이 작가의 안타까운 죽음 직후 문화체육관광부는 불공정 계약을 막겠다며 법률 지원센터 구축 TF를 발족했습니다만 이게 해결책이 될까요.

공정위는 이미 9년 전 어마어마한 부가가치를 창출한 그림책 구름빵 의 작가 백희나 씨가 1,850만 원 밖에 보상받지 못한 게 논란이 되자 출판계의 불공정 약관을 시정하겠다고 나선 적이 있습니다.

극단적 상황이 터져야 정부와 관계 부처가 나서 호들갑을 떨다 마는 모습을 국민은 언제까지 지켜봐야 할까요.

선진국이 뭡니까. 일이 터진 후 뭔가 해보겠다고 하는 게 아니라 미리미리 준비하는 국가 아닐까요.

작가의 예술혼과 창작 열정을 짓밟는 잘못된 시스템은 그대로 두고 K-컬처의 성과와 과실만 따 먹으려 하는 건 선진국이냐 아니냐를 떠나 아예 염치가 없는 일입니다.

김주하의 그런데 오늘은 검정 고무신 비극 누구 탓인가 였습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

MBN 네이버 구독 배너
MBN 네이버 구독 배너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