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법무부가 중국의 통신장비 제조업체 화웨이의 대(對) 이란제재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ZTE에 이어 또다시 중국의 대표 IT업체를 정조준한 조치라 미중 무역 갈등에 다시금 불이 붙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5일(현지시간) 미국 법무부가 화웨이의 이란 제재 위반 여부를 두고 조사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16일 미국 상무부가 대북 및 대이란 제재 위반 혐의로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ZTE에 대해 향후 7년간 미국 기업과의 거래를 금지한 지 열흘만이다. 이번 조치는 표면적으로는 대이란 제재 위반이라는 명목을 갖고 있지만 실제로는 중국 IT업체의 스파이 행위에 대한 미국 정부의 견제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라고 WSJ는 전했다.
미국 내에서는 화웨이가 중국 정부와 유착돼 스파이 활동을 한다는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지난 2월 중앙정보국(CIA)과 국가안보국(NSA), 국가정보국(DNI), 연방수사국(FBI)을 포함한 6개 미 정보기관 수장들은 상원 정보위 청문회에서 해킹 가능성을 거론하며 화웨이와 ZTE 제품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톰 코튼(아칸소)과 마르코 루비오(플로리다) 등 공화당 소속 두 상원의원도 화웨이나 ZTE의 통신장비를 구매하거나 빌리지 못하게끔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화웨이는 지난해에도 대이란 제재 규정 위반과 관련해 미국 상무부와 재무부의 소환장을 받은 적이 있다. 상무부와 재무부에 이어 법무부까지 조사에 나섰다는 것은 화웨이가 과거보다 중대한 혐의를 받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더욱 강력한 제재가 뒤따를 가능성이 있다고 외신은 전했다.
화웨이는 애플과 삼성에 이어 세계 3위 스마트폰 제조업체로 지난해 세계 통신장비 시장의 27%를 차지했지만 미국에서의 점유율은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중국 정부는 미국의 이번 조치에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가오펑 상무부 대변인은 26일 정례브리핑에서 "지난 수년간 중국기업의 대미투자는 미국내 취업을 늘리고 미국 경제발전을 촉진하는 등 큰 공헌을 해왔다"며 "미국의 제재로 인해 많은 중국 기업들이 미국 진출과 투자를 포기하고 있다. 중국은 한계에 다다르면 반격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경고했다.
[홍혜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