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우 의원 "인식 전환 필요…야생동물 피해 예방 교육 강화해야"
현재 위치를 알 수 없는 야생 반달가슴곰이 57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관리 방식을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오늘(1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 등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지리산 등에 사는 반달가슴곰 89마리 중 위치추적기가 부착됐고 작동하는 개체는 32마리에 그칩니다.
나머지 반달가슴곰 가운데 19마리는 위치추적기가 부착됐었으나 배터리가 떨어져 작동하지 않거나 추적기가 훼손·탈락한 상태입니다. 38마리는 복원 사업으로 야생에 방사된 개체들이 야생에서 낳은 새끼들로 위치추적기가 부착된 적 없는 개체입니다.
반달가슴곰 위치추적기는 배터리 수명이 2년 정도에 불과하고 곰이 추적기를 뜯거나 해서 훼손될 수 있기에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지만 교체가 쉽지 않습니다. 추적기를 교체하려면 곰을 포획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야생에서 태어난 개체가 증가하는 상황까지 더해져 위치를 알기 어려운 반달가슴곰이 늘어나는 가운데 곰이 사고로 죽거나 사고를 일으키는 일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2005년부터 올해까지 죽은 반달가슴곰은 가운데 11마리가 올무에 걸리는 등 사고로 폐사했습니다.
반달가슴곰이 피해를 일으켜 보험으로 처리된 건수는 2005년부터 올해까지 588건이며 보상액은 올해를 제외하고 10억 2천800여만 원(572건)입니다.
반달가슴곰 위치추적을 지속하기 어려운 만큼 이제는 '서식밀도'와 서식지를 관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은 한반도 생태 축과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2004년 러시아에서 도입한 6마리를 지리산에 방생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해 올해가 20주년입니다.
복원 사업을 시작할 때 목표는 '최소 존속 개체군'인 50마리 확보로,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고 평가됩니다.
학계에서는 지리산 내 적정 개체수를 56~78마리 정도로 보기에 이제는 야생 반달가슴곰이 너무 많다는 우려마저 나옵니다.
'야생 곰'의 존재를 인정하고 공존 방안을 모색할 때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 의원은 "자연은 인간과 동물이 함께 쓰는 것이라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라면서 "야생동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시민을 대상으로 교육을 강화하고 예방설비를 사전에 준비해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조수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uyeonjomail@naver.com]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