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신 자체가 극소수에 불과", "사직 전공의 95% 가량은 변함없어"
사직 시점은 6월 4일 이후…신규 인턴·레지던트 1년차는 2월말
사직 시점은 6월 4일 이후…신규 인턴·레지던트 1년차는 2월말
정부가 제시한 전공의 사직 처리 마감 시한인 오늘(15일) 대부분의 전공의들이 수련병원에 어떠한 답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날 의료계에 따르면 '빅5' 등 주요 수련병원은 현재까지 복귀 또는 사직 의사를 밝혀달라는 요청에 응답한 전공의들이 극소수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대규모 복귀 움직임 역시 감지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앞서 전국 수련병원 대부분은 지난주 전공의들에게 문자 메시지 등으로 이날까지 복귀 또는 사직 의사를 명확히 밝혀달라고 공지했습니다. 복귀하지 않거나 응답이 없으면 복귀 의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해 자동 사직 처리될 수 있다고도 했습니다.
정부가 각 수련병원에 이날까지 전공의들의 복귀 혹은 사직을 처리해 부족한 전공의 인원을 확정하고, 17일까지 보건복지부 장관 직속 수련환경평가위원회에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인원을 신청하라고 요구한 데 따른 것입니다.
각 수련병원이 정부 방침에 따라 전공의들에 '최후통첩'을 했지만, 전공의들은 여전히 요지부동입니다. 뚜렷한 반응이 없다 보니 현장에서는 전공의들이 대규모로 복귀할 가능성은 작다고 봅니다.
서울시내 주요 수련병원 관계자 A 씨는 이날 "병원에 회신한 전공의들이 거의 없다"며 "일부 복귀하더라도 큰 규모는 아닐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병원 관계자 B 씨는 "마감 시한을 정한 건 (내년도 전문의 시험을 앞둔) '고연차' 전공의들을 압박하기 위한 수단이었고, 이들 중 일부는 돌아올 가능성도 있을 것"이라면서도 "전반적인 분위기로 보아 전공의들이 (현재보다)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그런 상황은 전혀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교수들이 파악하는 내용도 병원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한세원 서울대병원 교수는 이날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 기자회견에서 "저희가 전해 들은 바로는 사직 전공의 95%가량은 의사에 변함없는 걸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병원들은 마감까지 전공의들의 응답을 기다려보겠다고 했습니다. 서울대병원 등은 이날 정오까지로 시한을 잡았지만, 일부에서는 날이 바뀌기 전까지 복귀 의사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또 다른 병원 관계자 C 씨는 "복귀 또는 사직 의사를 밝힌 전공의가 극소수에 불과하다"며 "마지막까지 기다려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사직을 원하는 전공의들의 사직서 수리 시점은 '6월 4일 이후'로 정해질 전망입니다. 주요 수련병원은 사직서 수리 시점에 대한 최종 결정은 아직이라는 게 공식적인 입장이지만, 내부에서는 사실상 정부 방침에 따라 '6월 4일 이후'로 결정됐다고 봅니다.
정부는 사직의 '법적' 효력은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을 철회한 6월 4일 이후에 발생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일부 병원은 정부 방침에 따라 '6월 4일 이후'에 사직서를 처리하되 전공의들에게 원하는 날짜를 정하게 하거나, 아예 이날 기준으로 처리하는 방안 등을 논의 중입니다.
다만 인턴이나 레지던트 1년차 등 3월에 새롭게 수련을 시작해야 했던 신규 전공의의 경우, 수련을 시작하지 않았으므로 2월 말을 기준으로 사직서를 수리하는 등 아예 임용을 취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정민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jma1177@naver.com]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