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과 결혼성비' 발표
보고서 "성비 불균형 큰 것, 과거 '남아선호사상' 영향"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20% 정도 많아 결혼에 불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보고서 "성비 불균형 큰 것, 과거 '남아선호사상'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이 오늘(17일) 발표한 보건복지 이슈앤포커스(449호)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과 결혼성비'(조성호 부연구위원)를 보면 2021년을 기준으로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19.6%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능한 많은 미혼 남녀의 만남이 성사되더라도 미혼 남성은 남게 되는 겁니다.
미혼 남녀 성비 불균형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서 특히 심각했습니다.
서울은 2.5%로 평균보다 낮은 데 비해 경북은 34.9%, 경남 33.2%, 충북은 31.7%를 기록했습니다.
사진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성비의 불균형은 미혼율의 차이로도 나타났습니다. 2020년 기준 1985년생(당시 35세)의 미혼율은 남성이 46.5%로 29.1%인 여성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이처럼 미혼 남녀의 성비 불균형이 큰 것은 과거 남아선호사상 영향으로 남아 출생이 여아 출생보다 많은 상황이 오래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출생성비(출생 남아가 여아보다 많은 상황)는 1970년대부터 자연성비를 초과하기 시작하는데,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중반까지 높은 수준이었다가 2007년부터 자연성비 범위 안으로 들어왔습니다.
보고서는 '1970년부터 30년 이상 출생성비가 자연성비를 넘어서는 수준이 지속됐다"며 "이들이 재생산 연령대에 접어들었을 때 결혼성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결혼성비의 불균형이 특히 심각한 지역은 1980~1990년대 출생성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불균형하다는 특징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최유나 디지털뉴스 기자 chldbskcjstk@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