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략 2~3주는 차질 없이 유지...비상근무당직 짜는 중"
2020년 의료 총파업 당시 정부, 2주간 맞서다 '백기' 들어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의 사직이 잇따르는 가운데,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한계에 다다를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2020년 의료 총파업 당시 정부, 2주간 맞서다 '백기' 들어
의료계와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공의들의 집단사직으로 인해 가동되는 비상진료체계가 버틸 수 있는 기간은 대략 '2∼3주 정도'로 여겨집니다.
특히 전공의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상급종합병원의 부담이 큰데, 당직에 교수들을 대거 동원하며 전공의 업무 공백을 메우고 있지만, 임시방편인 겁니다.
정통령 중앙사고수습본부 중앙비상진료상황실장은 "여러 병원 상황을 보면 대략 2∼3주 정도는 기존 교수님들과 전임의, 입원전담전문의, 중환자실전담전문의 등 전공의를 제외한 인력으로 큰 차질 없이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현재 비상근무 당직 체계를 짜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 이상으로 기간이 길어지면 이분들의 피로도가 누적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때는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사 중 필요한 인력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병원들은 지난 2020년 8월 의료계 총파업의 악몽이 되살아난 게 아니냐며 전공의들의 눈치만 살피고 있습니다.
전공의들은 지난 2020년 당시 의대 증원에 반발해 8월 7일 한 차례 총파업을 벌였고, 같은 달 14일 대한의사협회의 총파업에 참여했습니다.
이후 같은 달 21일부터 무기한 파업에 들어갔습니다.
당시에도 수술 취소, 진료 차질 등 '의료대란'이 벌어졌고, 결국 무기한 파업에 들어간 지 2주 만에 정부가 '백기'를 들었습니다.
같은 해 9월 4일 대한의사협회와 정부가 의정 합의를 맺으며 갈등이 일단락됐으나, 전공의들은 9월 8일에야 업무에 복귀했습니다.
더욱이 임상 강사, 펠로 등으로 불리는 '전임의'들도 사직 대열에 가세할 경우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의료 공백이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전임의는 전공의 과정을 마치고 전문의를 취득한 후 병원에 남아 세부 전공을 배우는 의사들입니다.
여기에 더해 '파업'했던 2020년과 달리, 이번에는 '사직'인 만큼 상황이 더 악화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의료계 안팎에서 확산하고 있습니다.
빅5 병원 관계자는 "당시에는 하루 연차를 쓰고 집단행동에 참여하거나, 무기한이라고 해도 언젠가는 돌아오는 '파업'의 개념이지 않았느냐"며 "이번에는 아예 사직서를 제출한 터라 상황이 더 극단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하루속히 갈등이 봉합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오지예 기자/calling@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