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오늘(8일) 윤석열 검찰총장을 앞에 두고 '윤석열이 아니어도 되는 반부패 시스템'을 주문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공정사회를 향한 반부패정책협의회'에서 "이제부터의 과제는 윤석열 총장이 아닌 다른 어느 누가 검찰총장이 되더라도 흔들리지 않는 공정한 반부패 시스템을 만들어 정착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정 개인이 아닌 시스템에 의해 검찰 수사의 공정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것으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를 비롯한 각종 개혁의 제도화를 촉구하는 발언으로 풀이됩니다.
다만 정치권에서는 문 대통령의 이날 발언을 두고 단순히 제도화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을 넘어 윤 총장과 지금의 검찰에 대한 '경고성' 메시지가 담겨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우선 이날 "검찰은 정치적 중립성에 대해서는 상당한 수준을 이뤘다고 판단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둘러싼 수사로 청와대와 검찰 사이에 갈등 구도가 만들어지기도 했지만, 문 대통령은 일단 검찰이 성역 없는 '살아있는 권력' 수사로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의문부호를 지웠다는 점을 평가한 셈입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곧바로 검찰이 현 수준의 개혁에 머물러서는 안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 검찰을 향한 '개혁 채찍질'을 이어갔습니다.
문 대통령은 특히 "부패에 엄정히 대응하면서도 수사와 기소 과정에서 인권과 민주성과 공정성을 확보하는 시스템을 정착시켜주기 바란다"고 주문했습니다.
조 전 장관 수사 과정에서 여권을 중심으로 검찰의 인권침해 가능성 및 수사 공정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뤄졌다는 점에 비춰보면 문 대통령의 언급은 검찰의 자성을 촉구하는 발언으로도 해석될 수 있습니다.
또 문 대통령은 "셀프개혁에 멈추지 않도록 법무부와 긴밀히 협력해달라"고도 했습니다.
이는 그동안 일각에서 '셀프감찰', '제 식구 감싸기'라는 비판을 받아온 검찰의 감찰 기능을 대대적으로 손봐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인식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조직에 피해가 돌아오지 않는 '적당한 수준'에서의 개혁이 아닌, 조직 문화를 뿌리부터 바꿀 수 있는 완성도 높은 개혁이 필요하다는 것이 문 대통령의 생각입니다.
특히 이날 문 대통령이 "검찰개혁으로 요구가 집중된 것 같지만 다른 권력기관들도 같은 요구를 받고 있다"고 언급한 부분도 주목됩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정부 출범 직후부터 강도 높은 권력기관 개혁을 추진해 왔습니다.
국가정보원의 경우 정치 개입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국내정보 담당관(IO) 제도를 전면 폐지했고, 더 나아가 국군 기무사령부의 경우 아예 조직을 없애는 해편(解編) 조처를 하기도 했습니다.
문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최근 강력하게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검찰개혁 역시 검찰 조직만을 겨냥한 '특별한' 조치가 아닌, 일련의 사회개혁 조치 중 하나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