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같은 비행 물체에 대한 별도의 대응 매뉴얼은 없습니다."
16일 울산에 있는 대형 석유화학업체 관계자는 "비행 물체를 감지하는 시스템 없이 보안 부서에서 육안으로 드론을 식별하고 있다"며 "사우디아라비아 사례처럼 위험 물질을 장착한 드론이 공격해 온다면 마땅한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대부분 석유화학 업체들이 비슷한 상황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드론에 의한 사우디아라비아 유전 테러 후폭풍이 거센 가운데 국내 석유화학공단도 드론 공격의 안전지대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화학공단은 폭발성과 유해성이 강한 물질을 취급하고 있어 폭발 사고시 대규모 인명 피해가 우려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국내 최대 규모의 울산석유화학공단은 인근에 고리원전과 신고리원전이 위치해 있어 일부 지역이 드론 비행금지구역(원전 주변 반경 18.6㎞ 범위) 안에 포함돼 있다. 하지만 울산석유화학공단 내 상개동과 부곡동 지역은 비행 금지 구역에서 제외돼 아무런 제재 없이 드론을 날릴 수 있다.
석유화학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대부분 석유화학업체들은 드론에 대한 별도의 대응 매뉴얼이 없는 실정이다. 직원들이 육안으로 감시하거나 군부대 레이더 정보에 의존하고 있다. 비행금지구역 안에 있다고 해도 드론의 출현을 사전에 막거나 제재할 수 있는 방법도 사실상 없다.
김종훈 국회의원(울산 동구)이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2015년 12월 이후 원전 주변 드론 출몰은 13건으로 이 중 7건은 '원점 미확보' 드론으로 나타났다. 원전이라는 주요 시설 주변에 드론이 출현했지만 누가 어디서 드론을 날렸는지 모르는 상황이 절반이 넘는다는 것이다.
올 들어서는 원전 주변 드론 출현이 크게 늘었다. 원전 주변 드론 출몰 13건 중 10건은 올해 발생했다. 지난 8월 한달간 고리원전 주변에서는 6번이나 드론이 출현하는 등 원전이 주요 국가 시설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드론 출현이 잇따르고 있다. 이 가운데 조종자가 검거된 것은 2건에 불과하다.
석유화학업계 한 관계자는 "그나마 원전은 비행기가 충돌해도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석유화학공단 시설은 철판이나 쇠파이프를 용접한 것에 불과하다. 작은 드론이라도 인화성 물질이나 폭발물을 장착한 채 충돌한다면 대형 사고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울산 = 서대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