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성북구청은 지난 2015년부터 청년 창업인들이 월 13만~25만원만 내면 약 8평 규모의 사무실 겸 주거공간을 임대할 수 있는 '도전숙' 사업을 하고 있다. 올해까지 총 10개 동에 42개 기업이 입주할 예정인데, 공기청정기를 장착한 휴대용 마스크를 만드는 기업 등 다양한 청년 기업들이 생겨나고 있다. 최승철 성북스마트앱센터장은 "다양한 아이템의 창업자들이 모여 서로 정보를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창업지원 노력 덕분에 서울에서는 새로운 법인 설립에 따른 일자리 증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27일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서울시 내에서만 2932개 법인이 새로 만들어졌고, 이로 인해 신규 일자리 1만3291개가 생겼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보면, 창업 법인 증가율은 12.0%, 일자리 창출 증가율은 3.1%에 달했다. 도소매업이 3100명으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금융업(1614명), 비즈니스서비스업(1312명) 등이 뒤를 이었다. 조달호 서울연구원 시민경제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법인 창업에 따른 일자리 창출이 3월엔 지난해에 비해 7.3% 감소했지만, 4월엔 3.1% 증가했다"며 "법인 창업이 큰 폭으로 늘면서 이에 따른 일자리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이처럼 법인 창업이 활성화된 이유는, 서울시가 대대적으로 창업 지원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6월 마포구에 스타트업 보육기관인 '서울창업허브'를 설립하고 창업기업의 소량제품 제작부터 판로개척까지 전방위적 지원을 하고 있다. 현재 허브엔 485개 기업이 입주해있다. 이외에도 시 산하 서울산업진흥원 역시 문화콘텐츠, 기술이 있는 유망 스타트업에게 R&D자금 지원, 직접 투자 등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시 전반적인 고용현황은 지난 1년새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시가 '창업지원으로 일자리가 늘었다'며 이같은 홍보를 하는 것은 지방선거를 의식한 것으로, 일자리 현실을 왜곡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서울시 거주 실업자는 26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약 6000명 줄었다. 다만 같은 기간 취업자는 약 3만4000명이 감소해 고용률은 지난해 4월 59.9%에서 올해 4월 59.7%로 뒷걸음질 쳤다. 특히 지난 1년 새 자영업자가 약 1만6000명, 일용직 근로자가 약 2만4000명이 줄어들었다. 취업 애로계층이 최저임금 인상, 내수 침체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분석된다. 최배근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핵심은 양질의 일자리인데, 여태껏 우리의 창업 정책은 양적 성장에만 집착해 자영업자만 단기적으로 만들어내는 꼴이었다"며 "새로운 시장을 기획할 수 있는 문제 해결능력이 절실하고, 그런 아이디어를 가진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 창업 정책의 리모델링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나현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