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5가구 중 1가구, 3년 새 '빈곤층' 전락…중산층·고소득층도 소득계층 하락
60세 이상 고령층 가구의 사정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60세 이상 고령층 5가구 중 1가구가 최근 3년 새 빈곤층이 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이 상위 40% 안에 드는 60대 이상 중산층·고소득층 가구도 절반 이상이 3년 새 더 낮은 소득 계층으로 떨어졌습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가계·금융복지조사로 본 가구의 동태적 변화 분석' 자료에 나타난 결과입니다.
◇ 고령층 5가구 중 1가구 3년새 빈곤층 진입
2011년과 2014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이용해 가구의 소득·자산 계층 이동을 분석했더니 60세 이상이 가구주인 가구 20.9%의 소득분위가 3년 새 하락했습니다.
소득분위가 상승한 가구 비율은 14.8%, 유지한 가구는 64.3%였습니다.
고령층의 경우 은퇴를 하면 소득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소득분위 하락 비율이 상승 비율보다 높은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하락 비율은 2011∼2013년 이동성을 분석했을 때 나타난 18.6%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1년 새 고령층 가구의 여건이 더 나빠진 셈입니다.
고소득층인 5분위(소득 상위 20%)와 중산층으로 볼 수 있는 4분위(소득 상위 20∼40%)의 소득분위 하락이 두드러졌습니다.
2011년 5분위였던 고령층 가구 54.5%의 소득 수준이 내려앉았습니다.
4분위 가구도 53.7%의 소득 수준이 떨어졌다. 고소득층(5분위)으로 올라선 비중(16.0%)과 비교하면 3배가 넘습니다.
중위소득 계층인 3분위의 경우 1·2분위로 소득이 떨어진 비중이 45.5%였습니다.
부동산·저축·부채 등을 합친 순자산을 기준으로 했을 때도 60세 이상의 계층 하락은 21.4%로, 2011∼2013년 조사 때(17.9%)보다 3.5%포인트 높아졌습니다.
이렇다 보니 3년 세 빈곤상태로 진입한 비중도 60세 이상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2011년 빈곤선(중위소득의 50% 미만) 위에 있었으나 2014년 그 밑으로 떨어진 60세 이상 가구 비율은 18.2%로 전체 평균(8.4%)의 2배가 넘었습니다.
◇ 자영업자 48%만 소득분위 유지…임금근로자는 54%
사정이 나빠진 자영업자의 소득분위 하락세도 두드러졌습니다.
가구주의 종사상 지위별로 따져보니 3년간 소득분위가 그대로 유지된 가구 비율은 자영업자가 47.9%로 가장 낮았습니다.
월급쟁이가 다수를 차지하는 임금근로자는 54.4%, 무직자·주부·학생 등을 포함한 기타는 69.1%의 소득분위가 그대로였습니다.
임금근로자의 경우 소득분위가 하락한 가구보다 상승한 가구가 4%포인트 많았지만, 자영업자는 4.7%포인트 적었습니다.
순자산으로 따져봐도 자영업자의 계층 하락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2011∼2014년 3년간 순자산분위가 떨어진 자영업자 비율은 22.0%였지만 임금근로자는 16.3%, 기타는 18.5%였습니다.
빈곤진입률 역시 자영업자(9.1%)가 임금근로자(6.9%)보다 더 높았습니다.
◇ 빈곤 탈출률 38.1%…8.1%는 4년 내내 빈곤
소득 기준으로 2011년에 빈곤하지 않았다가 2014년 빈곤해진 비율은 8.4%, 빈곤을 탈출한 경우는 38.1%로 나타났습니다.
빈곤 탈출률은 가구주 연령이 39세 이하(59.5%)에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40∼59(51.7%), 60세 이상(18.9%) 순이었습니다.
가구주가 임금근로자이면 50.1%, 자영업자의 경우 46.7%로 파악됐습니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한 해라도 빈곤을 경험한 비율은 28.2%로 집계됐습니다.
4년 연속 빈곤한 상태에 머무른 경우는 8.1%로 나타났습니다.
2011년 소득분위가 2014년에도 유지된 가구의 비율은 55.1%로 드러났습니다.
분위가 상승한 비율은 23.0%로 하락한 비율(21.8%)보다 소폭 높았습니다.
소득 2분위에선 상승한 비율이 34.0%로 하락한 비율(18.0%)보다 높았지만 4분위에선 하락한 비율(33.8%)이 상승한 경우(22.4%)보다 많았습니다.
김이한 기재부 정책기획과장은 "기초연금 도입, 근로장려금 확대 등으로 저소득·서민층인 1∼3분위 가구의 분위 상승비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가구주 연령이 60세 이상일 때 소득분위가 유지된 비율이 64.3%, 40∼59세 52.4%, 39세 이하가 50.9% 순이었습니다.
가구의 순자산분위가 2012∼2015년 3년간 유지된 비율은 63.1%였습니다.
분위가 상승한 가구는 18.7%, 하락한 가구는 18.1%로 비슷한 수준이었습니다.
2분위에선 분위가 상승한 가구 비율(28.3%)이 하락한 경우(17.0%)보다 높았지만, 순자산 4분위에선 상승한 비율이 18.3%, 하락한 비율은 25.5%로 역전됐습니다.
가구주 연령이 39세 이하인 가구 중에선 58.3%의 순자산분위가 유지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순자산분위 유지 비율은 60세 이상이 66.2%, 40∼59세는 63.9%로 20∼30대 청장년층의 분위 이동이 비교적 활발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60세 이상 고령층 가구의 사정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60세 이상 고령층 5가구 중 1가구가 최근 3년 새 빈곤층이 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이 상위 40% 안에 드는 60대 이상 중산층·고소득층 가구도 절반 이상이 3년 새 더 낮은 소득 계층으로 떨어졌습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가계·금융복지조사로 본 가구의 동태적 변화 분석' 자료에 나타난 결과입니다.
◇ 고령층 5가구 중 1가구 3년새 빈곤층 진입
2011년과 2014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이용해 가구의 소득·자산 계층 이동을 분석했더니 60세 이상이 가구주인 가구 20.9%의 소득분위가 3년 새 하락했습니다.
소득분위가 상승한 가구 비율은 14.8%, 유지한 가구는 64.3%였습니다.
고령층의 경우 은퇴를 하면 소득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소득분위 하락 비율이 상승 비율보다 높은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하락 비율은 2011∼2013년 이동성을 분석했을 때 나타난 18.6%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1년 새 고령층 가구의 여건이 더 나빠진 셈입니다.
고소득층인 5분위(소득 상위 20%)와 중산층으로 볼 수 있는 4분위(소득 상위 20∼40%)의 소득분위 하락이 두드러졌습니다.
2011년 5분위였던 고령층 가구 54.5%의 소득 수준이 내려앉았습니다.
4분위 가구도 53.7%의 소득 수준이 떨어졌다. 고소득층(5분위)으로 올라선 비중(16.0%)과 비교하면 3배가 넘습니다.
중위소득 계층인 3분위의 경우 1·2분위로 소득이 떨어진 비중이 45.5%였습니다.
부동산·저축·부채 등을 합친 순자산을 기준으로 했을 때도 60세 이상의 계층 하락은 21.4%로, 2011∼2013년 조사 때(17.9%)보다 3.5%포인트 높아졌습니다.
이렇다 보니 3년 세 빈곤상태로 진입한 비중도 60세 이상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2011년 빈곤선(중위소득의 50% 미만) 위에 있었으나 2014년 그 밑으로 떨어진 60세 이상 가구 비율은 18.2%로 전체 평균(8.4%)의 2배가 넘었습니다.
◇ 자영업자 48%만 소득분위 유지…임금근로자는 54%
사정이 나빠진 자영업자의 소득분위 하락세도 두드러졌습니다.
가구주의 종사상 지위별로 따져보니 3년간 소득분위가 그대로 유지된 가구 비율은 자영업자가 47.9%로 가장 낮았습니다.
월급쟁이가 다수를 차지하는 임금근로자는 54.4%, 무직자·주부·학생 등을 포함한 기타는 69.1%의 소득분위가 그대로였습니다.
임금근로자의 경우 소득분위가 하락한 가구보다 상승한 가구가 4%포인트 많았지만, 자영업자는 4.7%포인트 적었습니다.
순자산으로 따져봐도 자영업자의 계층 하락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2011∼2014년 3년간 순자산분위가 떨어진 자영업자 비율은 22.0%였지만 임금근로자는 16.3%, 기타는 18.5%였습니다.
빈곤진입률 역시 자영업자(9.1%)가 임금근로자(6.9%)보다 더 높았습니다.
◇ 빈곤 탈출률 38.1%…8.1%는 4년 내내 빈곤
소득 기준으로 2011년에 빈곤하지 않았다가 2014년 빈곤해진 비율은 8.4%, 빈곤을 탈출한 경우는 38.1%로 나타났습니다.
빈곤 탈출률은 가구주 연령이 39세 이하(59.5%)에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40∼59(51.7%), 60세 이상(18.9%) 순이었습니다.
가구주가 임금근로자이면 50.1%, 자영업자의 경우 46.7%로 파악됐습니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한 해라도 빈곤을 경험한 비율은 28.2%로 집계됐습니다.
4년 연속 빈곤한 상태에 머무른 경우는 8.1%로 나타났습니다.
2011년 소득분위가 2014년에도 유지된 가구의 비율은 55.1%로 드러났습니다.
분위가 상승한 비율은 23.0%로 하락한 비율(21.8%)보다 소폭 높았습니다.
소득 2분위에선 상승한 비율이 34.0%로 하락한 비율(18.0%)보다 높았지만 4분위에선 하락한 비율(33.8%)이 상승한 경우(22.4%)보다 많았습니다.
김이한 기재부 정책기획과장은 "기초연금 도입, 근로장려금 확대 등으로 저소득·서민층인 1∼3분위 가구의 분위 상승비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가구주 연령이 60세 이상일 때 소득분위가 유지된 비율이 64.3%, 40∼59세 52.4%, 39세 이하가 50.9% 순이었습니다.
가구의 순자산분위가 2012∼2015년 3년간 유지된 비율은 63.1%였습니다.
분위가 상승한 가구는 18.7%, 하락한 가구는 18.1%로 비슷한 수준이었습니다.
2분위에선 분위가 상승한 가구 비율(28.3%)이 하락한 경우(17.0%)보다 높았지만, 순자산 4분위에선 상승한 비율이 18.3%, 하락한 비율은 25.5%로 역전됐습니다.
가구주 연령이 39세 이하인 가구 중에선 58.3%의 순자산분위가 유지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순자산분위 유지 비율은 60세 이상이 66.2%, 40∼59세는 63.9%로 20∼30대 청장년층의 분위 이동이 비교적 활발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