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한국 의료 서비스 질 평가, 울산·서울 최고 점수…최하위 지역은 어디?
2015 한국 의료 서비스 질 보고서가 공개돼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분석결과, 울산과 서울 지역 거주자들이 다른 지역 사람들보다 상대적으로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받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소의 '2015 한국 의료 질 보고서'에 따르면, 울산은 의료 질 평가에서 100점 만점 중 68.0점을 받아 광역 시도 중 가장 첫 번째로 꼽혔습니다.
이어 서울은 효율성, 환자 안전, 적시성, 환자 중심성 등의 지표에서 전반적으로 좋은 점수를 얻었다. 부산은 의료연계(100점·1위), 시스템 인프라(84.0점·1위), 환자 안전(88.1점·2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반면 수도권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은 상대적으로 좋지 못한 의료 서비스 수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하위는 광주(43.7점)로 적시성과 환자중심성이 특히 낮았고, 전남(49.2점)과 제주(49.5점), 충남(49.3) 등도 하위권에 머물렀습니다.
보고서는 "하위권에 있는 지역들은 수도권에서 멀고 지역이 흩어져 있는 곳이거나 충남처럼 수도권에 인접해 있어 환자 유출이 많은 곳"이라며 "지역별 강점 영역과 취약 영역을 지역사회 단위 의료 질 향상 전략 추진의 근거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보사연은 ▲ 의료 효과성(질병의 예방 치료 결과) ▲ 환자 안전(환자 위험·위해 최소화) ▲ 적시성(지연·대기 시간 감소) ▲ 환자 중심성(환자의 선호·가치 존중해 이에 기반을 둔 임상결정) 등 8개 범주 153개의 지표를 통해 각 지역의 의료 서비스의 질을 평가했습니다.
▲ 의료연계(다른 의료 공급자와 연계 조정) ▲ 효율성(적절한 비용과 서비스) ▲ 접근성(재정적 장벽 없이 의료 제공) ▲ 시스템 인프라(시간과 지리적으로 적절한 서비스 제공) ▲ 격차(개인별로 질적 차이 없는 의료 제공)도 평가범주에 속했습니다.
평가에는 국립암센터(암 등록 통계), 통계청(사망원인 통계), 질병관리본부(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사평가 결과),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 표본데이터) 등 다양한 기관의 방대한 자료가 활용됐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2015 한국 의료 서비스 질 보고서가 공개돼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분석결과, 울산과 서울 지역 거주자들이 다른 지역 사람들보다 상대적으로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받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소의 '2015 한국 의료 질 보고서'에 따르면, 울산은 의료 질 평가에서 100점 만점 중 68.0점을 받아 광역 시도 중 가장 첫 번째로 꼽혔습니다.
이어 서울은 효율성, 환자 안전, 적시성, 환자 중심성 등의 지표에서 전반적으로 좋은 점수를 얻었다. 부산은 의료연계(100점·1위), 시스템 인프라(84.0점·1위), 환자 안전(88.1점·2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반면 수도권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은 상대적으로 좋지 못한 의료 서비스 수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하위는 광주(43.7점)로 적시성과 환자중심성이 특히 낮았고, 전남(49.2점)과 제주(49.5점), 충남(49.3) 등도 하위권에 머물렀습니다.
보고서는 "하위권에 있는 지역들은 수도권에서 멀고 지역이 흩어져 있는 곳이거나 충남처럼 수도권에 인접해 있어 환자 유출이 많은 곳"이라며 "지역별 강점 영역과 취약 영역을 지역사회 단위 의료 질 향상 전략 추진의 근거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보사연은 ▲ 의료 효과성(질병의 예방 치료 결과) ▲ 환자 안전(환자 위험·위해 최소화) ▲ 적시성(지연·대기 시간 감소) ▲ 환자 중심성(환자의 선호·가치 존중해 이에 기반을 둔 임상결정) 등 8개 범주 153개의 지표를 통해 각 지역의 의료 서비스의 질을 평가했습니다.
▲ 의료연계(다른 의료 공급자와 연계 조정) ▲ 효율성(적절한 비용과 서비스) ▲ 접근성(재정적 장벽 없이 의료 제공) ▲ 시스템 인프라(시간과 지리적으로 적절한 서비스 제공) ▲ 격차(개인별로 질적 차이 없는 의료 제공)도 평가범주에 속했습니다.
평가에는 국립암센터(암 등록 통계), 통계청(사망원인 통계), 질병관리본부(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사평가 결과),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 표본데이터) 등 다양한 기관의 방대한 자료가 활용됐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