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공공기관들이 지방으로 이전하고 남은 땅을 활용해 '글로벌 문화경제수도'를 육성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한전부지·홍릉연구단지 일대 등 특화 개발, 국제기구·글로벌인재·외국기업 투자 유치, 마이스(MICE)·창조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 등 서울시 경제 정책과 연계해 공공기관 이전부지를 전략적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26일 서울시는 서울연구원의 '중앙부처·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서울시 기능변화 분석과 대응전략 연구'를 바탕으로 이같은 새 발전방향을 제시했다. 서울에서는 총 127개 공공기관이 세종시·과천시·지방혁신도시로 이전하며, 이들 기관에는 3만6741명이 근무하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공기관 이전으로 시의 인구와 고용은 0.9%씩 줄고, 지역내총생산도 3.4%(약 10조원) 가량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인구·주택 분야의 영향이 미미한 반면 양질의 일자리가 빠져나가면서 경제 분야의 타격이 클 것이란 예상이다.
연구원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서울의 새로운 지향점으로 '글로벌 문화경제도시'를 제시했다. 또 ▲글로벌 기능 강화와 인재 유치 ▲공공-민간-대학 협력 서울형 연구개발(R&D) 생태계 구축 ▲문화, 복지 등 지역 공익시설 확충 등을 추진할 것을 권고했다.
전략적 활용 가능성이 높은 대표지역은 단연 한전부지와 홍릉연구단지 일대다. 한전부지 일대는 국제업무.컨벤션·MICE·관광숙박 등의 기능이 집적된 '국제교류복합단지'를 조성한다. 연구소 밀집지역인 홍릉단지 일대는 '스마트에이징 기술 기반의 실버산업 클러스터'로 만든다.
또 서울시는 공공부지가 매각돼 민간토지로 전환하더라도 공익 관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매각대상 공공부지 중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대상 부지의 경우 시가 직접 활용 또는 허가권, 의견제시 등을 통해 활용 용도를 유도한다.
이같은 부지개발 외에도 서울시는 2020년까지 50개의 국제기구를 유치하는 등 국제기구 허브 도시를 육성하고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높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보통신(IT)융복합, 바이오테크놀로지(BT) 등 신성장동력 산업 분야의 외국기업 유치와 기술 및 인적교류를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각종 세제감면과 자금지원 등 인센티브를 늘리고, 현행 50%인 서비스형 외국인투자지역내 외투기업 입주비율을 30%까지 완화하는 방안도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일자리 창출 등 경제 파급 효과가 큰 MICE산업 육성을 위해 영동권.도심권.서남권 등에 국제교류.MICE복합 거점을 조성하고 인프라 확충과 함께 국제회의 개최, 해외마케팅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추진한다.
또 5대 창조경제거점(금천·가산 G밸리, 상암DMC·수색 업무·상업 복합거점, 동대문 창조클러스터, 신촌-홍대-합정 창조밸리, 개포 모바일융합 클러스터)과 3대 아시아지식기반 허브(마곡, 창동·상계, 홍릉)를 조성해 문화·지식기반형 창조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 등에 활용한다.
[백상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