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발언 공방 '권력자의 권자도 안꺼낸' 김무성 대표, 정치현안 '침묵'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권력자' 발언을 둘러싼 파장이 다시 확산하고 있습니다.
일명 '국회선진화법'의 입법에 당시 '권력자'이던 박근혜 대통령의 찬성이 영향을 미쳤다는 취지의 김 대표 발언에 공식 대응을 자제해온 친박(친박근혜)계가 28일 김 대표를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친박의 맏형격인 서청원 최고위원을 비롯해 김태호·이인제 최고위원 등 친박계 지도부가 직접 나서 김 대표의 면전에서 집중포화를 퍼부었습니다.
서 최고위원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여당인 새누리당의 권력자는 김무성 대표 아니냐"면서 "왜 이런 권력자 발언을 해서 분란을 일으키느냐"고 비판했습니다.
서 최고위원은 또 김 대표가 한 일간지 인터뷰에서 친박계를 겨냥해 "권력 주변 수준 낮은 사람들은 완장을 차고 권력자 이미지를 손상시킨다"고 주장한 데 대해 "지금 김무성 대표 주변에도 '김무성 대권'을 위해 완장을 찬 사람들이 매일 별의별 짓을 다 하고 있지 않느냐"고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이인제 최고위원도 "당시 폭력 국회에 대한 저항과 반동으로 일어난 일에 대한 잘못이 누구에게 있고, 누구에게 없다고 어떻게 이야기할 수 있느냐"면서 "과거를 자꾸 현재 기준에 맞춰 자기 편리한대로 거론하는 것은 오히려 당내 민주주의와 의회 민주주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가세했습니다.
친박계는 또 김 대표가 공식적으로 당의 최고 '권력자' 위치에 있음에도 자신이 마치 권력자가 아니라 '권력의 피해자'인 것 같은 화법을 평소 자주 사용하는 것은 당의 지도부로서 부적절한 태도라고 지적했습니다.
한 친박계 의원은 모 매체와의 통화에서 "지금 당의 권력자는 김무성 대표인데, 김 대표가 이런 식으로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는 것은 비겁한 태도"라면서 "대권 주자가 되겠다는 정치인이 그런 식으로 소인배 같은 '꼼수 정치'를 하면 되겠느냐"고 주장했습니다.
서 최고위원은 "김 대표가 모든 인사권을 갖고 당내 모든 회의에 참석하고 대권 후보 반열에 올랐는데, 이 이상의 권력자가 어디 있느냐"면서 "평당원이 권력자라는 말을 쓰면 모르겠지만 김 대표는 다시는 권력자라는 말로 당에 분란을 일으키지 않기를 간곡히 부탁한다"고 말했습니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새누리당이 코미디를 보는 것처럼 희화화되고 있다. 누가 진짜 권력자인지 (묻는) 수수께끼를 하고 있다"면서 "집권 여당이 왜 이렇게 정제되지 못하고 투박한가"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국정을 책임지는 상황에서 한 마디 한 마디가 시장과 사회에 영향을 주는데 (여당의 모습이) 왜 이런 모습으로 거칠게 나타나고 있느냐"면서 "우리가 오만에 빠진 게 아니냐"라고 자성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습니다.
여권 주류인 친박계에서는 김 대표의 이 같은 행보가 어느 정도는 의도된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공천 지분을 얼마나 확보하느냐의 핵심 열쇠인 공천 룰과 공천관리위원회 구성을 놓고 친박계와 신경전을 벌이는 과정에서 김 대표의 발언은 '권력자=친박계, 피해자=비박계'라는 프레임을 만들어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려는 계산일 것이라는 게 친박계의 시각입니다.
다만 친박계는 김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을 겨냥해 '권력자' 발언을 한 것은 실수일 것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김 대표 본인의 트레이드 마크로 삼은 상향식 공천제가 '공천권을 권력자의 손에서 빼앗아 국민에게 돌려주는 제도'라는 구도를 계속 무리하게 설파하려다 보니 마음속에 숨겨놓은 '진심'을 자신도 모르게 발설한 것이라는 해석입니다.
실제로 김 대표는 재작년 7·14 전당대회 때부터 완전 상향식 공천을 추구하는 배경을 설명하면서 '권력자'라는 단어를 즐겨 사용해왔습니다.
지난 1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김 대표는 "앞으로 공천 과정에 소수 권력자와 계파의 영향력이 전혀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공언한 바 있고, 27일 '2030 공천 설명회'에서는 "과거에는 공천권이 당의 소수 권력자에 의해 밀실에서 좌지우지돼왔다"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청와대는 공식적으로는 여전히 침묵을 지켰으며,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김 대표의 발언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일일이 대꾸하지 않겠다"며 언급을 자제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권력자' 발언을 둘러싼 파장이 다시 확산하고 있습니다.
일명 '국회선진화법'의 입법에 당시 '권력자'이던 박근혜 대통령의 찬성이 영향을 미쳤다는 취지의 김 대표 발언에 공식 대응을 자제해온 친박(친박근혜)계가 28일 김 대표를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친박의 맏형격인 서청원 최고위원을 비롯해 김태호·이인제 최고위원 등 친박계 지도부가 직접 나서 김 대표의 면전에서 집중포화를 퍼부었습니다.
서 최고위원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여당인 새누리당의 권력자는 김무성 대표 아니냐"면서 "왜 이런 권력자 발언을 해서 분란을 일으키느냐"고 비판했습니다.
서 최고위원은 또 김 대표가 한 일간지 인터뷰에서 친박계를 겨냥해 "권력 주변 수준 낮은 사람들은 완장을 차고 권력자 이미지를 손상시킨다"고 주장한 데 대해 "지금 김무성 대표 주변에도 '김무성 대권'을 위해 완장을 찬 사람들이 매일 별의별 짓을 다 하고 있지 않느냐"고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이인제 최고위원도 "당시 폭력 국회에 대한 저항과 반동으로 일어난 일에 대한 잘못이 누구에게 있고, 누구에게 없다고 어떻게 이야기할 수 있느냐"면서 "과거를 자꾸 현재 기준에 맞춰 자기 편리한대로 거론하는 것은 오히려 당내 민주주의와 의회 민주주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가세했습니다.
친박계는 또 김 대표가 공식적으로 당의 최고 '권력자' 위치에 있음에도 자신이 마치 권력자가 아니라 '권력의 피해자'인 것 같은 화법을 평소 자주 사용하는 것은 당의 지도부로서 부적절한 태도라고 지적했습니다.
한 친박계 의원은 모 매체와의 통화에서 "지금 당의 권력자는 김무성 대표인데, 김 대표가 이런 식으로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는 것은 비겁한 태도"라면서 "대권 주자가 되겠다는 정치인이 그런 식으로 소인배 같은 '꼼수 정치'를 하면 되겠느냐"고 주장했습니다.
서 최고위원은 "김 대표가 모든 인사권을 갖고 당내 모든 회의에 참석하고 대권 후보 반열에 올랐는데, 이 이상의 권력자가 어디 있느냐"면서 "평당원이 권력자라는 말을 쓰면 모르겠지만 김 대표는 다시는 권력자라는 말로 당에 분란을 일으키지 않기를 간곡히 부탁한다"고 말했습니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새누리당이 코미디를 보는 것처럼 희화화되고 있다. 누가 진짜 권력자인지 (묻는) 수수께끼를 하고 있다"면서 "집권 여당이 왜 이렇게 정제되지 못하고 투박한가"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국정을 책임지는 상황에서 한 마디 한 마디가 시장과 사회에 영향을 주는데 (여당의 모습이) 왜 이런 모습으로 거칠게 나타나고 있느냐"면서 "우리가 오만에 빠진 게 아니냐"라고 자성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습니다.
여권 주류인 친박계에서는 김 대표의 이 같은 행보가 어느 정도는 의도된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공천 지분을 얼마나 확보하느냐의 핵심 열쇠인 공천 룰과 공천관리위원회 구성을 놓고 친박계와 신경전을 벌이는 과정에서 김 대표의 발언은 '권력자=친박계, 피해자=비박계'라는 프레임을 만들어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려는 계산일 것이라는 게 친박계의 시각입니다.
다만 친박계는 김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을 겨냥해 '권력자' 발언을 한 것은 실수일 것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김 대표 본인의 트레이드 마크로 삼은 상향식 공천제가 '공천권을 권력자의 손에서 빼앗아 국민에게 돌려주는 제도'라는 구도를 계속 무리하게 설파하려다 보니 마음속에 숨겨놓은 '진심'을 자신도 모르게 발설한 것이라는 해석입니다.
실제로 김 대표는 재작년 7·14 전당대회 때부터 완전 상향식 공천을 추구하는 배경을 설명하면서 '권력자'라는 단어를 즐겨 사용해왔습니다.
지난 1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김 대표는 "앞으로 공천 과정에 소수 권력자와 계파의 영향력이 전혀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공언한 바 있고, 27일 '2030 공천 설명회'에서는 "과거에는 공천권이 당의 소수 권력자에 의해 밀실에서 좌지우지돼왔다"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청와대는 공식적으로는 여전히 침묵을 지켰으며,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김 대표의 발언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일일이 대꾸하지 않겠다"며 언급을 자제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