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친노(친노무현)계의 좌장인 문재인 의원이 일반인이 온라인을 통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네트워크 정당' 구현을 주창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중도파의 반발 등 논란이 일고 있다.
임시 지도부인 비상대책위원회에 비대위원으로 참여한 문 의원은 25일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제5회 노무현 대통령 기념 학술 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온·오프라인을 결합하는 다양한 기능의 플랫폼을 구축하고 당원 뿐만 아니라 시민과 지지자를 광범위하게 결집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의원은 "유권자와 시민은 네트워크로 존재하고 활동하는데, 당은 네트워크 밖의 섬으로 존재하고 있다"며 "시민의 삶을 정당 네트워크에 결합시켜야만 하고, 이것은 당이 기반과 참여의 위기에서 헤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국회의원 중심의 정당운영 방식 탓에 시민과 지지자, 당원이 배제된 소통의 위기에 처했다면서 "중앙당과 지도부가 독점하고 있는 의사결정구조를 혁신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의사결정구조 혁신의 구체적 방안으로는 중앙당 권한을 시·도당과 각종 위원회로 과감하게 이전하고, 나아가 지역위원회를 강화하는 것을 제시했다.
그는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당의 뿌리와 체질과 근본을 다 바꾸고, 지금까지와는 다른 정치를 과감히 선택해야 한다"면서 "그 시작은 당의 전면적 재구성으로 기득권을 버리고 당을 근본적, 원천적으로 혁신해야 한다"고 말했다.
'네트워크 정당' 구현은 문 의원의 지론이지만, 차기 전당대회에 모바일 투표를 재도입하는 방안에 대해 중도파와 다른 당권 주자들이 친노계의 독주 가능성을 이유로 거세게 반발하는 민감한 시기에 정식 제기된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와 관련, 문 의원은 취재진과 만나 "(오늘 연설은) 모바일 투표나 전당대회와 아무 상관이 없다. 다가오는 전당대회까지 시간이 많지 않아 시민참여경선을 하거나 모바일투표를 재도입할 가능성은 제가 보기에 없다"라며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개방형 네트워크 정당은 오늘 제가 처음 이야기하는 게 아니라 우리 당이 오래 전부터 여러 번 약속한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나 당내 중도세력은 비대위원인 문 의원의 '네트워크 정당론'이 모바일 투표 도입 가능성과 무관치 않다고 보고 반발하고 있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