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가 22일 만에 극적으로 파업을 끝냈습니다.
철도노조와 여야는 국회 내 철도산업발전을 다룰 소위원회를 설치하기로 합의하면서 파업을 풀기로 했습니다.
여야 의원들과 철도노조의 말을 차례로 들어보시죠.
▶ 인터뷰 : 새누리당
- ""
▶ 인터뷰 : 민주당 / dd
- ""
▶ 인터뷰 : 김명환 / 철도노조 위원장
- ""
여야간 협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철도노조 최은철 사무처장이 민주당사로 들어간 27일부터였습니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에게 박기춘 사무총장에게 '연말 안에 철도 파업을 풀어보라'고 특명을 내렸고, 박 총장은 철도노조를 설득했습니다.
"정부가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을 무리하게 요구하지 말자. 협상을 위한 협상을 해야 한다"
"그냥 파업을 위한 싸움은 안 된다"
결국 철도노조가 물러섰고, 협상의 물꼬를 튼 박 총장은 국토교통부 쪽에 이런 내용을 제안했지만, 정부는 거부했습니다.
이에 박 총장이 김무성 의원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어젯밤 늦게 만났고,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와 최경환 원내대표도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고 합니다.
협상이 막바지에 이르자 김무성 의원과 박기춘 사무총장은 '당을 설득하기 위해선 김명환 노조위원장의 직접 서명이 필요하다'며 민주노총에 머물고 있는 김 위원장을 찾아가 사인을 받아냈습니다.
이렇게 철도노조 파업은 끝날 수 있었습니다.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과 박기춘 민주당 사무총장의 말을 들어보죠
▶ 인터뷰 : 김무성 / 새누리당 의원
- ""
▶ 인터뷰 : 박기춘 / 민주당 사무총장
- ""
철도노조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여야의 정치력 부재를 질타하는 목소리가 컸던 탓인지, 여야가 오랜만에 제 할일을 한 것 같습니다.
철도노조가 핵심 요구사항이었던 수서발 KTX의 면허발급 취소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도 파업 철회에 합의한 것은 아무래도 여론 때문이었을 겁니다.
중앙일보 여론조사 결과 철도파업에 대한 찬성여론은 39%, 반대 여론은 61%로 나타났습니다.
철도 민영화 반대라는 파업 명분은 처음부터 많은 국민의 지지를 받기 어려웠고, 파업 복귀자도 꾸준히 늘면서도 동력이 떨어졌습니다.
어쨌든 파업은 멈췄지만, 철도노조 파업이 남긴 후유증은 꽤나 깊게 우리 사회에 그늘을 드리울 것 같습니다.
당장 체포영장이 발부된 김명환 노조 위원장을 비롯한 지도부는 처벌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민주노총 건물에서 빠져나와 경찰에 체포되는 김 위원장의 말을 들어보죠.
▶ 인터뷰 : 김명환 / 철도노조 위원장
- ""
노노 갈등도 우려됩니다.
코레일 측은 파업을 주도한 490여 명에 대한 중징계를 예고했고, 신규인력 660명 채용도 공고한 상태입니다.
이들과 기존 복귀인력 간에 갈등은 불가피할 것 같습니다.
크게 보면 가장 큰 후유증은 우리 사회가 이번 철도노조 파업을 계기로 다시 분열됐다는 점입니다.
지난 토요일 민주노총 총파업 결의대회는 찬성 박근혜 정부, 반대 박근혜 정부로 분열되는 모습이 역력했습니다.
집회에는 '박근혜 OUT'이라는 푯말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는 철도 파업 초기부터 적당한 타협은 없다며 원칙 대응을 강조해왔습니다.
박 대통령의 말입니다.
▶ 인터뷰 : 박근혜 / 대통령
- ""
어떤 이들은 이를 놓고 박 대통령의 원칙이 통했다고 논평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개성공단 문제에서 원칙적인 대응으로 북한의 항복을 받아냈듯이, 이번 철도노조 파업에서도 박 대통령의 원칙이 결국 철도노조 파업 종료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박 대통령 역시 많은 상처를 입었을 겁니다.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 지지 정당이 없다고 답한 무당파의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는 잘하고 있다가 33%, 잘못하고 있다고 49%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7월까지만 해도 잘한다는 응답이 47%에 달했던 것이 10월부터 역전되더니, 이번 파업 사태를전후로 격차가 크게 벌어졌습니다.
중앙일보 여론조사에서도 박 대통령 지지율은 69.1%에서 51.4%까지 뚝 떨어졌습니다.
대통령은 어느 누구의 편이 아니라, 바로 우리의 대통령입니다.
북한 문제와 달리 국내 문제일 경우 '우리'라는, '통합'이라는 기대치가 대통령에게 크게 작용합니다.
이번 철도 파업으로 분열된 여론은 대통령에게 결코 득이 될 게 없다는 뜻입니다.
이번 철도 파업으로 우리 사회는 더 큰 숙제에 직면했습니다.
분열된 민심을 추스려야 하고, 대통령은 더 큰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해야 합니다.
2014년, 우리에게 결코 만만한 해가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김형오의 시사 엿보기였습니다.
[김형오 기자 / hokim@mbn.co.kr]
영상편집 : 신민희 PD
철도노조와 여야는 국회 내 철도산업발전을 다룰 소위원회를 설치하기로 합의하면서 파업을 풀기로 했습니다.
여야 의원들과 철도노조의 말을 차례로 들어보시죠.
▶ 인터뷰 : 새누리당
- ""
▶ 인터뷰 : 민주당 / dd
- ""
▶ 인터뷰 : 김명환 / 철도노조 위원장
- ""
여야간 협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철도노조 최은철 사무처장이 민주당사로 들어간 27일부터였습니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에게 박기춘 사무총장에게 '연말 안에 철도 파업을 풀어보라'고 특명을 내렸고, 박 총장은 철도노조를 설득했습니다.
"정부가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을 무리하게 요구하지 말자. 협상을 위한 협상을 해야 한다"
"그냥 파업을 위한 싸움은 안 된다"
결국 철도노조가 물러섰고, 협상의 물꼬를 튼 박 총장은 국토교통부 쪽에 이런 내용을 제안했지만, 정부는 거부했습니다.
이에 박 총장이 김무성 의원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어젯밤 늦게 만났고,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와 최경환 원내대표도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고 합니다.
협상이 막바지에 이르자 김무성 의원과 박기춘 사무총장은 '당을 설득하기 위해선 김명환 노조위원장의 직접 서명이 필요하다'며 민주노총에 머물고 있는 김 위원장을 찾아가 사인을 받아냈습니다.
이렇게 철도노조 파업은 끝날 수 있었습니다.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과 박기춘 민주당 사무총장의 말을 들어보죠
▶ 인터뷰 : 김무성 / 새누리당 의원
- ""
▶ 인터뷰 : 박기춘 / 민주당 사무총장
- ""
철도노조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여야의 정치력 부재를 질타하는 목소리가 컸던 탓인지, 여야가 오랜만에 제 할일을 한 것 같습니다.
철도노조가 핵심 요구사항이었던 수서발 KTX의 면허발급 취소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도 파업 철회에 합의한 것은 아무래도 여론 때문이었을 겁니다.
중앙일보 여론조사 결과 철도파업에 대한 찬성여론은 39%, 반대 여론은 61%로 나타났습니다.
철도 민영화 반대라는 파업 명분은 처음부터 많은 국민의 지지를 받기 어려웠고, 파업 복귀자도 꾸준히 늘면서도 동력이 떨어졌습니다.
어쨌든 파업은 멈췄지만, 철도노조 파업이 남긴 후유증은 꽤나 깊게 우리 사회에 그늘을 드리울 것 같습니다.
당장 체포영장이 발부된 김명환 노조 위원장을 비롯한 지도부는 처벌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민주노총 건물에서 빠져나와 경찰에 체포되는 김 위원장의 말을 들어보죠.
▶ 인터뷰 : 김명환 / 철도노조 위원장
- ""
노노 갈등도 우려됩니다.
코레일 측은 파업을 주도한 490여 명에 대한 중징계를 예고했고, 신규인력 660명 채용도 공고한 상태입니다.
이들과 기존 복귀인력 간에 갈등은 불가피할 것 같습니다.
크게 보면 가장 큰 후유증은 우리 사회가 이번 철도노조 파업을 계기로 다시 분열됐다는 점입니다.
지난 토요일 민주노총 총파업 결의대회는 찬성 박근혜 정부, 반대 박근혜 정부로 분열되는 모습이 역력했습니다.
집회에는 '박근혜 OUT'이라는 푯말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는 철도 파업 초기부터 적당한 타협은 없다며 원칙 대응을 강조해왔습니다.
박 대통령의 말입니다.
▶ 인터뷰 : 박근혜 / 대통령
- ""
어떤 이들은 이를 놓고 박 대통령의 원칙이 통했다고 논평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개성공단 문제에서 원칙적인 대응으로 북한의 항복을 받아냈듯이, 이번 철도노조 파업에서도 박 대통령의 원칙이 결국 철도노조 파업 종료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박 대통령 역시 많은 상처를 입었을 겁니다.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 지지 정당이 없다고 답한 무당파의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는 잘하고 있다가 33%, 잘못하고 있다고 49%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7월까지만 해도 잘한다는 응답이 47%에 달했던 것이 10월부터 역전되더니, 이번 파업 사태를전후로 격차가 크게 벌어졌습니다.
중앙일보 여론조사에서도 박 대통령 지지율은 69.1%에서 51.4%까지 뚝 떨어졌습니다.
대통령은 어느 누구의 편이 아니라, 바로 우리의 대통령입니다.
북한 문제와 달리 국내 문제일 경우 '우리'라는, '통합'이라는 기대치가 대통령에게 크게 작용합니다.
이번 철도 파업으로 분열된 여론은 대통령에게 결코 득이 될 게 없다는 뜻입니다.
이번 철도 파업으로 우리 사회는 더 큰 숙제에 직면했습니다.
분열된 민심을 추스려야 하고, 대통령은 더 큰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해야 합니다.
2014년, 우리에게 결코 만만한 해가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김형오의 시사 엿보기였습니다.
[김형오 기자 / hokim@mbn.co.kr]
영상편집 : 신민희 PD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