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내 고가 아파트와 저가 아파트 간 가격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7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시장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8월 서울의 상위 20% 아파트값은 평균 25억7,759만 원, 하위 20% 아파트값은 평균 4억8,873만 원입니다.
상위 20%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하위 20% 아파트보다 5.27배 비싼 셈입니다.
아파트 매매가격 5분위 배율은 5.27로 집계됐습니다.
5분위 배율은 주택을 가격순으로 5등분해 상위 20%(5분위)의 평균 가격을 하위 20%(1분위)의 평균 가격으로 나눈 값으로,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래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격차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서울 아파트값 5분위 배율은 2022년 11월 4.53에서 점점 커지면서 지난 7월 5.16을 기록, 기존 최고치(2018년 4월 5.08)를 넘어섰고, 이번 달에는 5.27로 격차가 더 벌어졌습니다.
㎡당 매매가격으로 따져봐도 저가 아파트와 고가 아파트 간 격차는 더 벌어졌습니다.
이번 달 서울 지역 상위 20% 아파트의 ㎡당 매매가격은 평균 2,696만 원이었으나, 하위 20% 아파트의 ㎡당 매매가격은 평균 760만7,000 원에 그쳤습니다.
이를 5분위 배율로 계산하면 3.54로,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6년 1월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서울뿐 아니라 수도권과 전국 기준 아파트값 5분위 배율도 역대 최고 수준으로 벌어졌습니다.
8월 전국 상위 20%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2억4,738만 원, 하위 20%의 평균 매매가격은 1억1,692만 원으로 5분위 배율은 10.67을 기록했습니다. 관련 통계가 공개된 이후 최고치입니다.
같은 달 수도권 상위 20%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6억6,546만 원, 하위 20%의 평균 매매가격은 2억3,274만 원으로 5분위 배율은 7.15를 기록했습니다. 이 역시 관련 통계가 공개된 이후 최고치입니다.
아파트값 격차가 커진 데에는 코로나 이후 심해진 소득 양극화, 서울·수도권과 지방 간 격차 심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최유나 디지털뉴스 기자 chldbskcjstk@mbn.co.kr]
오늘(27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시장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8월 서울의 상위 20% 아파트값은 평균 25억7,759만 원, 하위 20% 아파트값은 평균 4억8,873만 원입니다.
상위 20%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하위 20% 아파트보다 5.27배 비싼 셈입니다.
아파트 매매가격 5분위 배율은 5.27로 집계됐습니다.
5분위 배율은 주택을 가격순으로 5등분해 상위 20%(5분위)의 평균 가격을 하위 20%(1분위)의 평균 가격으로 나눈 값으로,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래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격차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서울 아파트값 5분위 배율은 2022년 11월 4.53에서 점점 커지면서 지난 7월 5.16을 기록, 기존 최고치(2018년 4월 5.08)를 넘어섰고, 이번 달에는 5.27로 격차가 더 벌어졌습니다.
㎡당 매매가격으로 따져봐도 저가 아파트와 고가 아파트 간 격차는 더 벌어졌습니다.
이번 달 서울 지역 상위 20% 아파트의 ㎡당 매매가격은 평균 2,696만 원이었으나, 하위 20% 아파트의 ㎡당 매매가격은 평균 760만7,000 원에 그쳤습니다.
이를 5분위 배율로 계산하면 3.54로,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6년 1월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서울뿐 아니라 수도권과 전국 기준 아파트값 5분위 배율도 역대 최고 수준으로 벌어졌습니다.
8월 전국 상위 20%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2억4,738만 원, 하위 20%의 평균 매매가격은 1억1,692만 원으로 5분위 배율은 10.67을 기록했습니다. 관련 통계가 공개된 이후 최고치입니다.
같은 달 수도권 상위 20%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6억6,546만 원, 하위 20%의 평균 매매가격은 2억3,274만 원으로 5분위 배율은 7.15를 기록했습니다. 이 역시 관련 통계가 공개된 이후 최고치입니다.
아파트값 격차가 커진 데에는 코로나 이후 심해진 소득 양극화, 서울·수도권과 지방 간 격차 심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최유나 디지털뉴스 기자 chldbskcjstk@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