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올해 3분기 경제성장률이 0.4%로 둔화했습니다. 연간 성장률은 2%에 못 미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한국은행은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보다 0.4% 증가했다고 오늘(24일) 밝혔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0% 증가했습니다.
이날 발표는 속보치로, 향후 잠정치에서 수정될 수 있습니다. 둘 사이의 오차는 보통 0.1%포인트 안팎입니다.
3분기 민간소비는 0.1% 증가했습니다. 승용차 등 내구재 소비가 늘어난 결과입니다. 일본여행을 중심으로 한 해외여행(국외소비)과 의류 등 준내구재 소비는 줄었습니다.
정부소비는 1.2% 증가했습니다. '문재인 케어'로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이 늘어난 영향이 컸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고3 무상교육으로 교육비 일부가 GDP 내에서 민간 소비가 정부 소비로 이전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건설투자는 건물·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5.2% 감소했습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덕에 0.5% 증가했습니다. 다만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 투자는 줄었습니다.
수출은 반도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4.1% 증가했습니다. 수입은 0.9% 늘었습니다.
3분기 성장률은 시장의 예상을 밑돌았습니다. 전문가들은 대부분 0.5∼0.6% 성장을 예상했습니다.
그 배경으로는 정부의 재정지출 효과가 반감한 점이 꼽힙니다. 2분기에 재정을 대거 끌어다 쓰면서 성장률이 반등했지만, 3분기에는 여력이 줄어든 것입니다.
이 때문에 정부의 성장기여도는 2분기 1.2%포인트에서 3분기 0.2%포인트로 낮아졌습니다.
민간의 성장기여도는 2분기 -0.2%포인트, 3분기 0.2%포인트입니다. '플러스 전환'은 긍정적이지만, 재정지출의 빈자리를 메우기에는 역부족입니다.
한은 관계자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따지면 3분기 성장률은 0.39%로, 4분기에 0.97%가 나와야 연간 2%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즉 4분기에 1%로 반등해야 한다는 뜻인데, 현 추세로는 전망이 어둡습니다. 성장률이 1분기 -0.4%에서 2분기 1.0%로 반등한 것은 역성장에 따른 기저효과와 재정지출 효과가 컸지만, 4분기는 이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대신증권 공동락 연구원은 "연간 2% 성장률은 불가능해졌다. 1.9%도 어려워보인다"며, "3분기 0.4%는 기업으로 치면 '어닝 쇼크'와 비슷하다"고 말했습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 악화로 GDP 성장률보다 낮은 0.1%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민간 기여도 중 내수는 별로 안 좋지만, 수출의 마이너스 폭이 줄어든 게 희망적"이라며, "물량 기준으로 반도체 수출이 회복세다"라고 말했습니다.
순수출의 성장기여도는 1.3%포인트로 지난해 3분기(2.0%포인트) 이후 1년 만에 플러스 전환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