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종의 실업대란이 본격화하면서 취업자가 3만명 가까이 줄었다. 항공운송·식품·화학 산업의 고용은 늘었지만, 조선·정보기술(IT) 산업의 부진에 따른 고용한파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12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11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11월 상시근로자 고용보험 피보험자(취업자) 수는 1268만6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8만3000명(2.3%) 증가했다. 취업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증가 폭은 2010년 9월(27만3000명) 이후 6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취업자 증가율은 업종별로 차이가 컸다. 증가율이 높은 업종들은 서비스업이 차지했다. 대표적인 저임금 업종인 숙박·음식업의 취업자 수 증가율이 10.7%에 달했다. 이어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5.5%),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5.3%)이 뒤를 이었다. 부동산 경기의 호조로 부동산·임대업의 취업자 증가율도 4.5%에 달했다. 임금이 가장 높은 금융보험업의 증가율(0.3%)은 매우 낮았다.
고용규모가 가장 큰 제조업의 취업자수 증가율은 0.2%에 그쳤다. 제조업 취업자 증가 폭은 5000명에 그쳐 8월(9000명), 9월(7000명), 10월(6000명)에 이어 증가 폭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고용 악화를 주도한 것은 구조조정 태풍이 몰아치는 조선업이었다. 선박, 철도, 항공장비 등을 제조하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지난해 말까지 고용이 늘었지만 선박 수주 급감 등 경기 악화로 올해 들어 감소세로 전환했다.
더구나 6월 1만2000명이었던 취업자 감소 규모는 8월 2만2000명, 9월 2만4000명, 10월 2만5000명에 이어 11월에는 2만8000명까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지난해 말 고용규모는 21만명에 달했지만 올해 11월에는 18만1000명까지 줄어 고용규모가 10% 이상 급감했다.
제조업 고용의 14.5%를 차지하는 ‘전자부품·컴퓨터·통신장비’도 10월 취업자 수가 1만3000명이나 감소했다. 2013년 9월 고용규모가 57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계속 줄어 올해 11월 고용규모는 51만7000명에 그쳤다. 국내 업체들이 생산기지를 해외로 이전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철강 등 ‘1차 금속산업’은 중국의 저가 철강재 수출 등으로 2013년 하반기부터 고용이 크게 줄다가 지난해 중반 이후 안정되는 모습이다. 다만 고용 감소세는 이어져 11월에도 고용규모가 2000명 감소했다.
식료품제조업의 취업자 수는 1만2000명 늘어 25만5000명에 달했다. 화장품이 포함된 화학제품제조업도 취업자 수가 1만명 늘어 고용규모가 22만9000명에 달했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중소기업 취업자가 925만명으로 23만9000명(2.7%) 증가했다. 반면 300인 이상 대기업은 343만6000명으로 4만4000명(1.3%) 늘어나는 데 그쳤다.
실직으로 11월 구직급여를 신규 신청한 사람은 7만2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000명(7.2%) 증가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