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대동맥류가 직경 5cm 이상이면 수술을 권장하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이 생길 전망이다. 심장에서 뻗어나온 대동맥은 일반적으로 직경이 3cm 내외이지만, 대동맥의 일부가 주머니처럼 늘어나는 질환인 대동맥류는 파열되는 순간 다량의 출혈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 있어 파열 전 정기 검사를 실시하고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30일 김준범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 교수·토랄프 썬트 하버드 의과대학 교수팀에 따르면, 수술없이 약물치료를 시행한 대동맥류 환자 257명의 경과를 분석해 대동맥류 크기에 따른 1년 내 파열 확률을 예측한 결과, 직경 5cm 미만의 대동맥류는 파열 확률이 1% 미만이었지만 직경이 커질수록 확률이 증가해 5cm에서는 5.5~8%, 5.5cm에서 11.2%, 6cm에서는 15.6%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cm 이상에서는 28.1%로 가파르게 늘어 대동맥류가 직경 5cm를 넘으면 크기에 따른 1년내 파열 확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증명됐다.
그 동안 통상적으로 대동맥류가 5.5~6cm 이상일 경우 파열될 위험이 높다고 판단해 늘어난 대동맥류를 잘라내고 인공혈관을 잇는 수술을 권했지만, 그 기준에 정확한 근거가 없고 구체적으로 분석되지 않아 모든 환자에게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로 대동맥류 크기에 따른 파열 확률이 구체적으로 증명돼 적절한 수술 시기를 판단할 수 있어 대동맥 파열로 인한 사망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됐고 환자들의 예후도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됐다. 또한 기존의 대동맥류 수술 및 연구기준이 되어온 5.5~6cm보다 더 세밀한 단위별 파열 확률이 분석돼 향후 대동맥질환의 임상 연구범위도 확대될 전망이다.
김준범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흉부 대동맥류는 파열될 경우 급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위험한 질환”이라며 “전조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건강검진 등을 통해 일단 대동맥류 진단을 받으면 평생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그동안 대동맥류 파열확률에 대한 예측과 수술 기준이 미흡했던 게 사실이지만 이번 연구로 의료진이 대동맥류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대동맥류 임상시험의 수준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1992년부터 2013년까지 메사추세츠 제너럴병원 대동맥질환센터에서 대동맥류 진단을 받은 3247명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것으로, 미국 심장학회 공식학술지 써큘레이션(Circulation, I.F :14.948) 온라인 9월호에 게재됐으며 편집장이 가장 주목하는 논문에 선정됐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