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국민총소득(GNI) 규모가 60년 만에 3만배 증가하고 1인당 GNI는 400배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국민계정 개편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명목 GNI는 1953년 483억원에서 작년 1441조원으로 60년 새 2만9833배로 늘었다.
1인당 GNI는 60년 만에 67달러에서 394배로 늘어난 2만6205달러가 됐다. 연평균 10.5%씩 증가한 것이다.
국민계정이란 기업·가계·정부 등 국민경제를 구성하는 모든 주체의 경제 활동과 일정 시점에서 경제 전체의 자산·부채상황을 정리하기 위해 정한 회계기준이다.
이 기준은 1953년부터 지금까지 네 차례에 걸쳐 바뀌었다.
한은의 이번 국민계정 개편에 따라 처음으로 같은 기준(2008 SNA)을 이용해 경제 통계가 처음 나온 1953년부터 2013년까지의 한국 경제 흐름을 짚어볼 수 있게 됐다.
GNI가 증가에도 가계형편 개선은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형편을 가늠할 수 있는 GNI 대비 가계소득 비중은 1975년 79.2%에서 작년에는 61.2%로 줄었다. 반면 기업의 비중은 9.3%에서 25.7%로 높아졌다.
총저축률은 1953년 10.9%에서 꾸준히 늘어 1988년 41.7%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낮아지기 시작해 지난해 34.4%를 기록했다.
총투자율 또한 1991년(41.4%) 정점 이후 기업들의 설비투자 증가세 둔화 등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지난해 총투자율은 28.8%였다.
가계저축률은 1988년 24.4%를 정점으로 빠르게 하락해 작년 수치(4.5%)가 1953년 당시(4.6%)와 비슷해졌다.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노동소득분배율은 1953년 27.3%에서 1996년 62.4%까지 높아졌다. 이후 등락을 거듭하다 최근 4년 연속 상승, 지난해 61.4%가 됐다. 이는 근로자들의 임금이 높아졌다기보다는 가계와 기업의 영업이익이 낮아져 나타는 현상으로 분석된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