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국은 무릎 반월연골판 `수술 공화국`
입력 2020-10-13 11:34 

무릎 관절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반월연골판 수술은 정형외과에서 가장 널리 시행되는 수술 중 하나로, 7년새 19%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월연골판은 체중 부하시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 역할을 한다.
인제대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정규성·하정구 교수팀은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등록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반월연골판 전체 수술 건수는 2010년 7만4,807건에서 2017년 8만9,035건으로 1만4,228건이나 더 많이 시행됐고, 반월연골판 수술 중 절제술은 2010년 6만5,752건에서 2017년 7만4,088건으로 12.6%, 봉합술은 2010년 9,055건에서 2017년 1만4,947건으로 65%나 증가했다고 13일 밝혔다.
반월연골판 절제술을 가장 많이 시행한 연령은 50대로, 전체 수술 중 37.5%(2만7,850건, 2017년 기준)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는 60대 25.5%(1만8,937건), 40대 16%(1만1,902건) 순으로 조사됐다. 10만명당 수술 건수를 환산한 결과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절제술은 2010년 10만명당 137명에서 2017년 154명으로 증가했다. 이는 미국(2011년 기준, 10만명당 17건)보다 9배, 일본(2015년 기준, 10만명당 22건)보다 7배 이상 높은 수치다. 봉합술도 10만명당 수술 건수를 환산한 결과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봉합술은 2010년 10만명당 18명에서 2017년 31명으로 증가했다. 이 역시 미국(10만명당 1.2건)보다 25배, 일본(10만 명당 7건)보다 5배 이상 높다.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반월연골판 수술 증가 비율은 봉합술이 절제술보다 높았지만 절대 수치는 절제술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50~60대 고령에서 시행되는 반월연골판 절제술의 시행건수가 미국, 일본 등 다른 나라보다 월등히 높은 것이 이번 연구의 주목할 만한 점이다.

연구팀은 이러한 현상이 모든 국민을 상대로 한 국민건강보험 시스템이 갖춰져 있고, 관절수술병원 증가로 의료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미국이나 일본보다 높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또한 수술 비용도 미국과 일본보다 상대적으로 낮고, 민간보험에 가입된 인구가 증가하면서 의료비 부담이 덜하고, 개인 실손보험이 많이 보급되면서 고가의 MRI 검사를 큰 부담없이 시행할 수 있어 반월연골판손상 진단을 많이 할 수 있게 된 점도 반월연골판 수술 증가에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정규성 교수는 "통증이나 불편감이 경미한 경우, 이물감이나 잠김 현상 등이 없는 경우에는 수술을 권하지 않는다"며 "퇴행성 관절염을 동반한 반월연골판 손상이나 퇴행성 파열의 경우에는 약물이나 주사 치료 등 보존적 치료에도 통증이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규성 교수는 이어 "MRI 검사에서 파열이 보인다고 수술을 무조건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무릎에 부담을 주는 자세를 최대한 피하고, 체중을 감량해 무릎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주고, 무릎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인 대한의학회 공식학술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JKMS)에 게재됐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