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코로나로 유연근무 도입해보니 대기업 60% `만족`, 과반은 "코로나 끝나도 유연근무 계속"
입력 2020-07-20 13:51  | 수정 2020-07-20 14:10
코로나19 사태로 재택근무 중인 SK텔레콤 직원이 자사 서비스인 `T그룹통화`와 마이크로소프트의 메신저 `팀즈(Teams)` 등을 활용해 원격회의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 제공 = SK텔레콤]

코로나19로 등 떠밀리듯 시작한 유연·원격근무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택·원격근무는 물론 선택근로제나 시차출퇴근제 등 유연근무제를 코로나19가 끝난 이후에도 계속하겠다는 반응도 절반이 넘었다. 다만 이를 돕기 위한 법 개정이나 지원책을 바라는 의견도 나왔다.
20일 한국경제연구원은 매출 기준 500대 기업을 조사한 결과, 이들 대기업의 75%가 코로나19로 인해 유연근무제를 새로 도입하거나 확대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설문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6월 8일부터 7월 6일 사이 진행했으며, 500대 기업 중 120곳이 응답해 95% 신뢰수준에서 오차는 ±7.8%포인트다.
대기업들이 시행하는 유연근무제는 주로 재택 및 원격근무거나 근로시간과 관련한 제도였다. 재택 및 원격근무제를 도입했다는 비율이 26.7%로 가장 높았으며, 시차출퇴근제가 19%, 탄력근로제가 18.3%, 선택근로제가 15.4%로 뒤를 이었다. 시차출퇴근제는 '9 to 6'로 경직된 출퇴근 시간을 '10 to 7' 등으로 변경해 운영하는 제도다. 탄력근로제는 주 4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볼 때 이번 주에 60시간을 근무하고 다음 주에 20시간을 근무하는 식으로 전체 근로시간 안에서 집중 근로를 시행하는 제도다. 선택근로제는 하루 근무 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해 근무한 뒤 주간 근무시간만 회사 기준에 맞추는 방식으로, 오늘 4시간 일하고 내일 10시간 일하는 식이다.
응답 대기업의 75%가 유연근무제를 새로 도입한 가운데 만족도도 몹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를 새로 도입하거나 확대한 기업의 56.7%는 유연근무제 시행이 업무효율이나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이전과 비슷하다는 답변은 38.9%였으며, 더 나빠졌다는 반응은 4.4%에 불과해 기업 인사담당자 사이에서 유연근무제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압도적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코로나19 사태가 종료된 뒤에도 제도를 계속 시행하겠다는 비율이 절반을 넘었다. 코로나가 진정돼도 유연근무제 시행을 계속하거나 확대하겠다는 답변은 51.1%에 달했다. 유연근무제를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7.8%에 그쳤다.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라 유연근무제 도입이 늘어난 가운데, 유연근무제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됐으며, 코로나19가 진정돼도 유연근무제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응답이 대기업 설문 결과 나타났다. [자료 출처 = 한국경제연구원]
유연근무제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제도를 계속 시행하겠다는 응답이 이어진 가운데, 이를 위한 제도적 점검도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필요한 정책 지원방안을 두고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인 항목은 유연근무제 관련 근로기준법 개선(33.7%)이었다.
현행 근로기준법은 탄력근로제의 경우 취업규칙으로 최대 단위기간을 2주로, 단체협약으로 단위기간을 최대 3개월로 설정할 수 있게 규정하고 있다. 업무를 좀 더 탄력적으로 운영하려면 이 단위기간을 늘려 근로자와 회사가 필요한 기간에 더 일하고, 덜 필요한 기간에는 일을 줄일 수 있도록 법을 개선해달라는 것이다.
선택근로제를 두고도 현재는 최대 1개월 안에서 근로시간을 정산하도록 돼 있는데, 이 기간을 연장해 근로자와 사용자가 서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운신의 폭을 넓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다만 노동계에서는 탄력근로제와 선택근로제 단위기간 및 정산 기간을 무분별하게 연장하면 단기간에 업무 강도가 과해져 근로자 편익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근로기준법 개선에 뒤이어 유연근무제 인프라 구축비용 지원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26.8%로 높았다. 민간에서 유연근무제 도입에 적극적인 만큼 정부에서도 이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면 제도를 보다 적극적으로 확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외에 정부 공공기관의 직무급 도입 등 임금체계 개편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9.8%로 나타났다.
[송민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