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부의 대북정보 수집력·판단 적중, 어떻게 수집하나
입력 2020-05-03 16:32  | 수정 2020-05-10 17:05

"특이동향이 없다." "우리 정부 입장을 확고하게 믿어달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둘러싼 각종 이상설(說)로 전 세계가 들썩이던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일관되게 내놓은 입장입니다.

20일만에 잠행을 깬 김 위원장이 아무런 불편함 없이 공식 일정을 소화하는 모습이 전파를 타면서 정부의 대북정보 수집 경로와 역량에도 관심이 쏠립니다.

3일 군 등 정보당국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가 북한 최고지도자의 동향을 포함한 대북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은 인공위성, 감청·영상 정보(시긴트·SIGINT), 인적정보(휴민트·HUMINT), 공개정보 등 크게 4가지입니다.

인공위성의 경우 김 위원장 전용 열차의 이동 상황 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는데, 정부가 활용하는 상업위성의 경우 해상도가 낮아 정확한 판단과 분석을 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정부는 군사위성을 운용하는 미국과 대북정보 공조 체제를 유지합니다.

실제 한미 당국은 이번 김 위원장이 공개활동을 중단한 기간 위성 정보를 바탕으로 그가 원산에 체류한 사실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정부가 위성정보를 미국에 의존하다 보니 파악한 정보를 공개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자칫 미국이 제공한 정보에 근거한 판단을 공개하면 미국측에서 자료를 실시간으로 주지 않거나 제공하는 정보의 양을 줄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북한 내부의 '이상 신호'를 감지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되는 방식으로는 시긴트가 꼽힙니다.

군은 백두·금강 정찰기를 통해 평양 이남에서 군사분계선(MDL)까지의 군사시설에서 발신되는 무선 통신을 감청하고 각종 영상 정보를 수집합니다.

실제로 한미 당국자들은 신호정보를 통해 평양에서 특이한 통신량의 증가 등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김 위원장이 사망했다는 루머에 대해 회의적이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일(현지시간) 관련 상황에 정통한 인사들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이와 함께 정부는 북한 관영매체를 중심으로 쏟아지는 '공개 정보' 분석에도 공을 들입니다.

북한 체제 특성상 신문이나 방송을 주민들의 선전·선동 도구로 활용하는 측면이 크기 때문에 북한 지도부의 정책 결정이나 정세 판단을 읽을 수 있어서입니다.

이번에도 북한 매체들은 김 위원장의 건강이상설에 대해선 침묵했지만, 통상적인 수준의 업무 관련 보도를 통해 정상적인 국정운영을 우회적으로 알렸습니다.

김 위원장이 모범 주민에게 감사의 뜻을 전달하거나 외국 수반과 축전을 주고받은 것을 비롯해 노동절(5월 1일) 기념 사설에서 "김 위원장만 믿고 따르자"고 독려한 보도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 밖에 한국 정부가 확보한 탈북자 네트워크나 북·중 접경지역 등의 휴민트도 빼놓을 수 없는 주된 대북정보 수집 경로입니다.

다만 이번의 경우 북한 최고지도자의 건강 상태는 대북정보 중에서도 '1급'에 가까워 탈북자는 물론 '내부 소식통'이라고 불리는 휴민트의 역할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정부는 김 위원장의 사망설이 '가짜뉴스'로 판명된 뒤에도 대북정보의 민감성 등을 고려해 구체적인 언급은 삼가는 분위기이지만, 이번 '해프닝'을 계기로 대북정보 수집력과 판단이 '적중'했음을 입증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