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韓中日 `정보공개` 차이가 코로나 확산 여부 `희비` 갈랐다
입력 2020-02-17 15:47 

중국과 일본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몸살을 앓는 것과 달리 한국의 질병 대처를 찬사하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의 평가가 나왔다. 핵심은 한국 정부의 코로나19에 대한 투명한 정보공개다. WSJ는 "한국 정부가 빅데이터를 활용해 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을 신속하게 공개하고 있다"며 "감염 확산은 물론 공포감을 줄이고 있다"고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한국 보건복지부가 확진자들의 신용카드 기록과 폐쇄회로(CC)TV 화면, 휴대전화 위치확인 서비스, 대중교통카드, 출입국 기록을 토대로 동선을 파악한 후 관련 정보를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다.
중국을 포함한 다른 아시아 국가들도 확진자 동선을 추적하는 것은 같지만 한국 정부가 대중에 공개하는 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은 아주 세부적이라는 측면에서 '두드러진다(stand out)'고 WSJ는 평가했다. 또 중국에서 한국으로 입국하는 사람은 의무적으로 휴대전화를 제출하고, 정부의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 받아야 하며, 건강 정보를 매일 보고해야 한다고 전했다.
다만 서방 국가들이 한국과 같은 조치를 취한다면 '사생활 침해'를 이유로 자국민들의 반발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WSJ는 지적했다. 린다 셀비 퀸즐랜드대 공중보건학 교수는 WSJ에 "우리는 코로나19의 감염성 수준에 대해 아는게 아직 별로 없다"며 "(한국과 같은 조치를) 언제 취할 것인지, 취할지 말지를 검토하는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WSJ에 따르면 밴더빌트대의 전염병 전문가인 윌리엄 섀프너는 "(환자) 추적에 21세기 수단을 사용하는 것은 공중보건에 흥미로운 일"이라고 말했다.
반면 코로나19의 발원지인 중국의 경우 치명적인 질병을 숨기려다 초기 대응에 실패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당초 알려진 것보다 약 2주 먼저 코로나19 발병을 알았던 정황이 드러났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이날 보도했다. 이를 두고 뉴욕타임스(NYT)는 "당 지도부가 사태를 얼마나 정확히 파악했고, 구체적으로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에 의문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의 경우 크루즈선의 대규모 집단 감염을 제외하고도 도쿄를 운항하는 유람선 '야카타부네'에서 열린 신년회에 참석한 택시 기사 등 9명이 코로나19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일본 당국은 관련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고 있다. 감염자가 다수 확인된 야카타부네 운영업체의 이름은 물론이고 운항 경로와 선착장 위치, 현재 운항 여부 등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정보조차 공개하지 않아 오히려 공포감을 더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덕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