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NO 재팬` 6개월…日에 얽혀 사는 사람들의 속앓이
입력 2020-01-10 17:37 
한 시민이 일본 불매운동 배너를 지나치고 있다. 일본의 수출규제로 촉발된 일본 불매운동은 6개월째로 접어들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일본 불매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도 6개월째. 불매운동의 효과는 선명했다. 일본 물건은 좀처럼 팔리지 않았고 항공 노선은 축소됐다. '저러다 만다'는 일부 일본인들의 비아냥을 비웃기라도 하듯 국민들은 여전히 일본을 가지 않고 일본 물건을 사지 않고 있다. 이렇게 '이 시국'을 함께 살아가는 우리들 가운데는 남모르게 속을 앓는 사람들도 있었다. 우리 주변 어떤 사람들은 모두가 가지 않고 사지 않을 때, 일본으로 가고 일본 제품을 파는 일을 해야 했다. 어쩌면 시국 속에서 들춰보지 못했던 이들의 이야기를 지난 8일 서울 합정동 모처에서 만나 들어봤다.
◆"캐리어 끌고 공항 가는 게 사실 좀 두려워요"
서울 서대문구에 사는 고등학교 3학년 홍다은 양은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일본 유학을 준비했다. 중학교 시절 미디어를 통해 일본 문화를 접하며 유학을 결정한 홍양은 3년간 EJU(일본유학시험)를 준비하기 바빴다. 원래도 읽고 쓸 줄 알았던 일본어도 제대로 다시 배웠다. 지난해는 지원할 대학도 알아봐야 했다. 그러던 중 한일관계가 경색되고 불매운동이 시작됐다. 지난 2019년을 한국 수험생으로, 일본 유학 준비생으로 살아갔던 홍양은 이렇게 회상했다.
"학교에서는 (유학 준비를) 보장해주는 분위기였어요. 친구들도 제 주변에선 시국에 대한 얘기를 자제했죠. 하지만 먼 친척들이나 유학 준비 사실을 모르는 사람들에게 처음으로 일본 유학 사실을 밝힐 때는 '이 시국에?'로 시작하는 말을 정말 많이 들었어요. 입시 스트레스까지 겹치니 많이 힘들었어요. '난 왜 하필 일본일까'하고요. 실제로 유학을 포기하는 사람도 봤어요. 당장 면접을 보러 일본을 가야 하는데 캐리어 끌고 공항 가는 게 사실 좀 두려워요. 유학 준비하는 친구들과 자주 위로해요. 우리는 3년간 공부해왔는데 운이 안 좋게 시기가 지금일 뿐이라고요"
◆"저도 저만의 불매운동을 하고 있어요"
서울 마포구에 살고 있는 이기훈씨는 피규어 판매 업계에서 4년째 일하고 있다. 판매 제품은 대부분 일본 제품이다. 뜻이 있거나 피규어를 좋아해서 시작한 일은 아니었지만 영업에 재미를 붙이며 근무하고 있다. 이씨는 불매운동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피규어 업체의 경우 거기서 다행히 비껴간 케이스라고 전했다. 피규어 시장의 경우 두터운 마니아층이 있어서다. 업계 전체적으로 보면 매출이 줄고 흔들리는 회사들도 있었지만 불매운동 외에도 환율 탓도 크다고 밝혔다. 이씨가 말하는 이야기도 비슷했다.
"처음 보는 사람이나 제 직업을 모르는 사람들을 만날 땐 자연스럽게 직업 얘기가 나오잖아요. '무슨 일 하세요?'라는 질문에 '피규어 팔고 있습니다'라고 얘기할 때 위축이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직업을 말하게 되면 혹시나 안 좋게 생각하는 것 아닐까 걱정되는 게 사실이에요. 혼자 눈치를 보게 되는 거죠. 무고한 피해가 없는 불매운동이 되면 좋겠어요. 감정적으로가 아니라 자신의 기준에 맞게, 자신만의 불매운동을 하면 된다고 생각해요. 저도 제가 할 수 있는 불매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정말 억울한 분들은 강제징용 어르신들이죠"
지난 8일 이메일 인터뷰를 통해 생각을 밝힌 방송국 PD 공태희씨는 지난해 1월 '골목도쿄'라는 책을 냈다. 공씨는 외국이 우리를 더 잘 보이게 하는 돋보기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 그 돋보기로 공씨는 일본을 택했다. 그는 일본을 200번 이상 드나들며 일본 문화를 체득했다. 일본이라는 이웃에 대한 이해는 결국 우리를 이해하는 데 기초체력으로 작용한다고 전했다. 책도 일본을 알수록 우리 모습이 더 잘 보인다는 취지로 썼다. 공씨는 불매운동으로 일본 관련 서적이 안 팔리고, 강연도 없어졌지만 피해를 봤다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그가 겪는 '이 시국'에 대해 이렇게 얘기했다.
"피해라고 한다면 '골목도쿄'가 덜 팔리는 정도, 강연은 줄어든 정도가 아니라 9월 이후 전혀 없습니다. 그런데 이걸 피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일본 식자재를 취급하는 도소매상과 일본과의 무역이 생업인 소상공인의 고통에 비하면 별일 아닐 겁니다. 저는 억울하지도 상처받지도 눈치를 보지도 않습니다. 정말 상처받고 억울한 분들은 위안부, 강제징용 피해자 어르신들이지 우리가 아니니까요"
취재로 만난 3명의 사람들은 일본 불매운동으로 난감한 상황 속에 처했지만 계속해서 자신의 꿈과 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한일관계 해결의 열쇠로 양국 간 민간교류가 거론되곤 한다. 민간교류의 최전선에 있는 이 사람들은 오늘도 학원으로, 일터로 발걸음을 옮긴다.
[디지털뉴스국 김형준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