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톡톡! 부동산] `과유불급`…커뮤니티의 역설
입력 2018-07-31 17:39 
인천 A아파트 시공사는 입주자 모집 당시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에 수영장이 포함된다는 점을 앞세워 마케팅했다. 신도시라 주변 생활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았던 탓에 이 아파트는 비슷한 시기에 분양한 주변 다른 아파트에 비해 우수한 분양 성적을 거뒀다. 하지만 이 아파트 수영장은 5년 넘게 문을 열지 못하고 있다. 수영장 운영 시 발생하는 막대한 고정비용이 입주민에게 부담이 됐기 때문이다.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은 최근 살기 좋은 아파트를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로 꼽힌다. 특히 서울을 포함한 대도시에서는 재건축·재개발을 통해 1000가구 이상 대규모 아파트 공급이 늘어나면서 '규모의 경제'를 활용한 대형 피트니스센터나 수영장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가구 수나 입주민 지불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과잉 커뮤니티시설 투자는 결국 득보다 실이 많기 때문에 사업자나 입주민 모두 주의가 필요하다.
과잉 커뮤니티시설의 대표적인 사례가 수영장이다. 입주민 구매력이 그리 높지 않거나 초기 분양률이 낮으면 고정비에 대한 부담으로 문을 열기 어렵다. 초기에 문을 열지 못하면 나중에 문을 열고 싶어도 관리비가 갑자기 급상승하기 때문에 입주민 반발에 부딪히기 쉽다. 서울 B아파트 단지 내 수영장은 최근 폭염 때문에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지만 올해 초만 해도 문을 닫아야 한다는 여론이 거셌다. 커뮤니티시설 이용료로 가구당 3만원이 넘는 돈을 내야 했기 때문에 활용 빈도가 낮은 가구가 거세게 반발했다.
피트니스센터 역시 과잉 투자로 문제가 되는 사례가 종종 있다. 서울 C아파트는 분양 당시 단지 내에 피트니스센터 3곳을 설치해 2000가구가 넘는 대단지지만 집 근처에서 운동할 수 있다는 점을 적극 홍보했다. 입주한 지 1년이 지났지만 현재 피트니스센터 3곳 중 2곳은 오픈하지 못하고 있다.
아파트 분양업계 관계자는 "적정 수준의 커뮤니티시설은 입주민 만족도를 높이고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며 "그러나 가구 수나 입주민 소득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커뮤니티시설은 관리비의 과도한 상승을 유발하고 결국 방치되는 상황으로 귀결된다"고 조언했다.
[정순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