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미국 `핵동결이 대화 조건` 시사…내달 한미정상 조율 주목
입력 2017-05-17 13:18  | 수정 2017-05-24 13:38

미국이 북한 핵·미사일 프로그램 전면 동결을 대화의 기본 조건으로 제시해 향후 북한의 반응이 주목된다.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16일 북한의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 발사에 대한 대응을 논의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긴급회의에 앞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북한과) 대화를 할 용의가 있다"면서도 "그러나 우리가 핵프로그램과 모든 형태의 (핵·미사일) 실험 중단을 볼 때까지는 안 한다"고 밝혔다.
외교가는 헤일리 대사의 발언이 오바마 행정부 시절인 2012년 이뤄진 2·29 합의 수준까지 북한이 비핵화 조치를 취해야 대화를 하겠다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2·29 합의는 북한이 핵활동 및 미사일 발사를 유예하는 대가로 미국이 영양식 24만톤을 제공하는 내용을 담아 북핵 프로세스에 돌파구를 마련한 합의로 주목받았지만 합의후 2개월도 채 지나지 않아 북한이 장거리 로켓을 쏘아 올려 결국 좌초했다.

헤일리 대사는 이날 "북한을 도와주려 하는 제3국 기업을 간과하지 않고 있다. 제재를 부과하고 있다"고 소개한 뒤 "북한을 지원하고 있다면 당신은 국제사회 전체에 대항하는 것"이라며 세컨더리보이콧(Secondary boycott, 2차제재)을 시사했다.
현재 대북 제재 강화에 협조하고 있는 중국이 비협조로 돌아설 경우 언제든 북한과 거래한 중국 기업들에 '철퇴'를 내릴 수 있음을 암시한 발언으로 풀이됐다.
새로 출범한 우리 정부가 미국 주도의 대북 제재 드라이브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할지도 관심이다. 문재인 정부는 대화와 제재 병행 기조이며, 대화의 구체적 조건을 밝히진 않았지만 미국보다는 '허들'이 낮을 것이라는 게 외교가의 예상이다. 또 단계적·포괄적 북핵 해결 기조 하에 완전한 비핵화 이전 단계의 핵동결을 중시하며, 비핵화와 평화체제 협상을 병행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런 만큼 내달말 워싱턴에서 열릴 한미 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 정책에서 어떤 합의점을 도출할 것인지에 외교가의 이목이 집중될 예상이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