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9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은이 선제적인 금리인하를 단행하기 보다는 미국 금리 인상여부를 지켜본 후 통화정책에 나서는게 합리적이라 9월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김영란법 시행 등 하반기 경제에 악영향을 주는 외부요인들이 금리인하 유인으로 산재하고 있지만, 가계부채 문제와 이달 주요국들이 통화정책 발표를 앞두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금통위는 관망세에 들어가 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이달 발표한 국내 경제지표들이 개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한은의 추가금리인하가 실탄낭비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올해 2분기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민간소비, 건설투자 증가 등의 영향으로 지난 7월 속보치 대비 0.1%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소비자 심리지수 역시 8월 102로 전월보다 1포인트 상승해 지난해 12월(102) 이후 8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수출 역시 20개월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가계부채 또한 추가 금리 인하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올해 2분기 가계부채는 1257조원을 넘어서 사상 최고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금통위와 이주열 한은 총재 역시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부담감을 재차 내비친 바 있다. 한은의 8월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당시 한 금통위원은 앞으로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계속 상승할 경우 실물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역시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경제동향간담회를 열고 한국경제가 미국의 금리인상, 가계부채, 고령화 문제 등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들의 통화정책 결정도 변수다. 미 연방준비제도는 오는 20일부터 이틀간 FOMC(공개시장위원회)를 열어 금리 조정 여부에 관한 시그널을 내놓는다. 9월로 점쳐졌던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은 미국 경제지표의 흐름에 따라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일본은행 역시 통화정책회의를 앞두고 있어 한은이 이들의 결정을 지켜본 후 통화정책을 집행하는 게 합리적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한은의 연내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에 대해서는 엇갈린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하반기 김영란법 시행을 앞두고 있는데다 해운 구조조정의 시장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본격적으로 드러나면서 중앙은행에 경기 부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서다. 때문에 이달 금통위에서 소수의견이 나올지 여부에도 시장은 주목하고 있다.
앞서 한은은 지난 6월 기준금리를 1년 만에 0.25%포인트 인하한 바 있다. 이후 한은은 2개월째 기준금리를 동결해 통화정책을 이어나가고 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진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