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초강대국 없어지면 무력 충돌 잦아질 것"
입력 2014-10-15 14:33 

일본의 빠른 국수주의화, 중동의 수니파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의 부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최근 일어난 지정학적 갈등이다. 중동 분쟁은 원유값을 흔들어놓고 일본의 국수주의화는 엔화 약세로 한국 수출에 직격탄을 날렸다. 이같이 전세계 경제를 뒤흔들고 있는 국지적 무력 충돌에 대해 미국으로 대표되는 초강대국의 위력 약화가 원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15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5회 세계지식포럼 '역사와 지정학의 부활' 세션에서는 이언 모리스 스탠포드대 교수, 마이클 리히텐슈타인 왕자, 월터 미드 바드대 교수, 김성환 전 외교통상부 장관이 모여 전세계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지정학적 분쟁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좌장은 티에리 드 몽브리알 프랑스 국제관계연구소(IFRI) 소장이 맡았다.
이날 모리스 교수는 초강대국의 패권이 약화되는 것이 무력 충돌을 증가시킨다는 주장을 펼쳤다. 역사적으로도 절대 강자가 있을 때 분쟁이 감소했다는 설명이다. 그는 "지중해 중심의 로마 제국, 아시아에서 중국의 한·당·청 왕조, 1850년부터 1870년까지의 대영제국이 바로 무력 분쟁을 줄이는 역할을 했다"며 "이렇게 절대 세력이 지역에 존재했을 때 지정학적 문제는 불거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냉전 종식 이후 미국이라는 절대 강자가 25년간 지배력을 유지해왔는데 이는 역사상 유례없는 사건"이라며 "많은 사람들이 미국의 지배력에 대해 앞으로는 어려울 것이라고 얘기하지만 미국이 원한다면 계속 유지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민주주의가 지정학적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필수 요건은 아니라는 의견도 제시됐다. 미드 교수는 "민주주의가 세계 질서를 안정화시켜주냐는 질문에서 민주주의를 자본주의로 돌려 말할수도 있다"며 "전세계 모든 국가들은 (민주주의로 인해) 많은 기회를 얻고 있지만 그만큼 스트레스도 많이 받고 있어 이같은 상태를 안정이냐 불안이냐 단정지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결국 전세계 질서가 안정되기 위한 조건은 일반 대중들의 인식과 괴리가 있음을 보여줬다. 전세계 국가들의 권력 배분, 민주주의의 확산 등이 국지적 분쟁 완화로 직결되진 않는다는 설명이다. 이는 러시아, 중동 등지에서 볼 수 있는 민족주의, 군국주의의 부활과도 연계돼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교육이라는 보편적인 가치가 분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에는 패널들의 견해가 일치했다. 몽브리알 소장은 "우리는 학습이 돼야 원하는 리더의 모습을 갖출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은 지정학적 불안을 낮추는데도 작용한다 할 수 있다"며 "지속가능한 목표를 유지하기 위해 시스템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매경닷컴 김용영 기자 / 사진 = 유용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