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오는 11일 7차 변론이 중요한 이유는 윤석열 대통령이 "군을 선관위에 투입하라는 지시를 내가 했다"고 인정했기 때문입니다.
선관위 전산망이 해킹에 취약해 부정선거에 이용됐을지를 점검하려 했다는 것인데요.
이와 관련한 쟁점과 관련 기관들은 또 어떤 주장을 해왔는지 황재헌 기자가 정리해봤습니다.
【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군을 선관위에 투입하라는 지시를 했다"고 인정했습니다.
▶ 인터뷰 : 윤석열 / 대통령
- "선관위에 (계엄군을) 좀 보내라고 한 것은 제가 김용현 장관에게 얘기를 한 것입니다."
2023년 국정원이 선관위 전산망을 모의 해킹한 뒤 보안에 취약하다는 결론을 내렸는데 이때 국정원이 선관위 장비를 전부 다 보지 못해 이번에 마저 들여다보려고 했다는 것입니다.
선관위는 압수수색을 하기도 어려운 만큼 팩트 체크를 하려면 계엄을 선언할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입니다.
당시 조사를 지휘했던 백종욱 전 국가정보원 3차장도 최근 MBN 취재 결과 선관위가 협조하지 않았다는 주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선관위 입장은 완전히 다릅니다.
애초 국정원이 전산망 점검을 할 때 보안프로그램 해제를 요구한 뒤 모의 해킹을 했기 때문에 해킹에 취약하다는 주장은 인정할 수 없으며 점검을 기피한 적도 없다는 것입니다.
▶ 인터뷰 : 김용빈 / 중앙선관위 사무총장 (지난 4일)
- "계엄 상황이더라도 실제적으로 군이 헌법기관인 선관위에 진입했다는 것 자체가 위헌 위법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부정선거론자인 황교안 전 총리를 대리인단에 합류시키며 주도권을 쥐려 하고 있는데 헌재는 윤 대통령 측이 신청한 중앙선관위 서버 감정 신청은 기각한 바 있습니다.
MBN뉴스 황재헌입니다.
영상편집 : 이주호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