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최근 독감 유행 지속?
올해 3주차 독감 환자 전주 대비 33% 감소
독감 환자 감소했으나 유행 기준보다 매우 높은 수준
독감 환자 7~12세·13~18세 순으로 많아
Q. 호흡기 감염병 감염경로는?
코로나19 입원 환자 최근 3주째 증가세
기침·재채기할 때 나오는 침방울에 노출되며 감염돼
손에 바이러스가 존재한다면 손으로 얼굴 만질 때 감염
Q. 독감 유행 원인은?
코로나 팬데믹 겪으며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 감소
최근 2가지 유형의 인플루엔자가 동시에 유행
A형 독감은 두 종류의 바이러스로 나뉘어·재감염 가능
Q. 독감 감염 시 증상은?
38℃ 이상 고열과 마른기침·인후통 등의 증상 발생
독감 감염 시 두통·근육통·피로감 등 전신 증상 동반
고위험군은 폐렴·심근경색·뇌졸중 등 합병증 발생하기도
Q. 고위험군 독감 예방요령은?
65세 이상·임신부·생후 6개월 이상 어린이 무료 접종 가능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 있는 소아·임신부 등은 치료제 처방 가능
고위험군은 항바이러스 처방 시 건강보험 요양급여 인정돼
Q. 독감 치료는?
독감은 초기 치료가 중요·의심 증상 발생 시 진료 받아야
증상 발생 후 48시간 내 항바이러스 사용하면 효과 볼 수 있어
건강한 성인은 항바이러스 사용 시 3~5일 만에 증상 호전
Q. 독감 예방요령은?
외출 시 마스크 착용하고 손을 자주 씻어야
면역력 강화를 위해 규칙적으로 생활해야
충분한 수면·수분 보충·비타민 복용 도움 돼
Q. 최근 단독주택 화재 발생?
경북 봉화에서 단독주택 화재·인근 야산으로 번져
경북 안동서 주택 화재·아궁이 취급 부주의가 원인인 듯
전북 군산서 단독주택 화재로 50대 거주자 숨져
Q. 겨울철 화재 주의해야?
겨울철 난방기구 사용·실내 활동 늘어나 화재 위험 커져
화재 시 인명피해 비율은 사계절 중 겨울이 가장 높아
최근 5년간 겨울철 화재로 725명의 인명피해 발생
Q. 고령층 화재 시 피해 많아?
고령층은 화재 시 빠른 탈출 어려워 인명피해 비율 높아
화재 시 사망·부상자 비율 만 65세 이상 고령층에서 높아
강원소방 매년 화재 취약계층 대상으로 소방시설 설치
Q. 고령층 화재 피해 예방대책은?
도시 외곽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고령층은 화재 대비해야
수시로 안부 묻고 사전에 화재 위험 요소 제거해야
고령층이 사용하기 편한 진화 장비를 비치해 교육해야
Q.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방법은?
화재 초기 주택용 소방시설은 소방차 1대 위력 발휘
단독·연립·다가구주택은 주택용 소방시설 의무 설치해야
단독경보형감지기는 구획된 실마다 1개씩 설치해야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