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국에 한파특보 확대?
북서쪽에서 찬 공기 남하로 기온 큰 폭으로 떨어져
최근 강원 평창·중부 산지에 한파경보 발령돼
강한 바람까지 불면서 체감온도는 ?11℃까지 내려가
Q. 북극발 한파 영향은?
대만 한파 역대 최소 면적의 북극 해빙 영향 받은 듯
대만에선 11일까지 492명 병원 밖 심정지로 사망
12~1월 북극발 한파 영향으로 기온 변동성 커져
Q. 한파 피해 예방요령은?
내복·모자·장갑 등으로 노출 부분의 보온에 유의해야
당뇨환자·만성폐질환자 등은 독감 예방접종 받아야
노인·장애인 홀로 거주할 경우 수시로 안부 확인해야
Q. 한파 시 시설물 관리요령은?
수도계량기·보일러 배관 등은 헌 옷 등 보온재로 채워야
수도관이 얼었을 때는 미지근한 물이나 드라이로 녹여야
동파가 발생했을 때에는 지역 수도사업부에 전화
Q. 한파 시 차량 운전 요령은?
도로 결빙 대비하여 스노체인·삽 등 월동용품 미리 구비
운전 중에는 저속 운전하고 차간 거리 충분히 확보해야
빙판길·커브길 등에선 되도록 가속과 멈춤 하지 않아야
Q. 한파 시 농·어촌 대응요령은?
비닐·볏짚·부직포 등으로 농작물을 덮어줘야
축사 등은 샛바람 방지를 위한 보온 덮개·난방기 준비
양식 어류는 조기 출하하여 피해를 예방해야
Q. 2월 날씨 전망은?
티베트 적은 눈 덮임으로 고기압성 순환 형성돼
2월 기온 평년보다 높을 확률 50%
2월 강수량 평년과 비슷할 확률 50%
Q. 겨울철 일산화탄소 중독 주의해야?
캠핑 중 가스 중독사고 겨울철에 집중돼
밀폐된 공간에서 가스·숯불 사용 시 중독 위험 높아져
휴대용 난로 사용으로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 발생
Q. 일산화탄소 중독 증상은?
일산화탄소 노출 시 산소 공급되지 않아 심한 부상 발생
일산화탄소 농도 1600ppm 20분 만에 두통·구토 발생
일산화탄소는 무색무취의 가스로 중독 인지 어려워
Q.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 예방은?
난방기구 사용 시 내부 환기를 자주 시켜야
난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일산화탄소 경보기 설치
두통이나 메스꺼움 등 증상 나타날 땐 119에 신고
Q. 캠핑 화재 예방요령은?
텐트 안에선 난방기구 사용 자제해야
화기는 텐트 밖에서 사용하고 일정 거리 유지해야
불 피울 땐 주변에 물 뿌리고 잔불 정리 철저히 해야
Q. 영동 지역 화재 주의해야?
영동 지역 당분간 대기가 매우 건조·바람도 강하게 불어
산림 인접 지역에서는 낙엽과 쓰레기 소각 하지 말아야
흡연 이후에는 담배꽁초 정리 등 불씨 관리 철저히 해야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