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국에 한파특보 확대?
우리나라 상공 5㎞로 영하 40℃ 찬바람 유입돼
최근 전국 한파 지속·아침 최저기온 ?13℃~2℃
서울도 영하권 지속·올 겨울 첫 한파특보 발령돼
Q. 수도계량기 동파 경계 단계 발령?
서울시 올 겨울 처음으로 수도계량기 경계 단계 발령
동파 예보제 관심·주의·경계·심각 중 3단계 해당
동파 피해 복구 위해 동파 대책 상황실 24시간 운영
Q. 동파 피해 예방요령은?
-10℃ 기온 이틀 이상 지속 땐 동파 가능성 커져
물 약하게 틀어 계량기 안에 지속적으로 물 흐르게 해야
수도계량기 유리가 깨지거나 부풀어 오를 땐 신고해야
Q. 한파 피해 예방요령은?
저온 환경의 작업장에선 여러 벌의 옷을 겹쳐 입어야
한파엔 노약자와 영유아 가장 취약·온도 관리 신경 써야
고혈압 등 만성질환자는 야외가 아닌 실내에서 운동해야
Q. 최근 대설특보 발령 지역은?
한반도 주변 해수면 온도 예년보다 3℃ 가량 높아
눈구름대 들어오는 한반도 서쪽 중심으로 적설량 많아
시간당 3~5cm 호남과 충남·제주에는 대설특보 발령돼
Q. 대설특보 시 행동요령은?
내 집과 내 점포 앞·보행로·지붕과 옥상의 눈 치워야
노후가옥은 눈의 무게로 무너지지 않도록 안전점검 해야
걸을 때는 주머니에 손을 넣지 말고 보온 장갑 착용
Q. 농·어촌 폭설 대처요령은?
비닐하우스·가설 건축물 미리 점검하고 눈 서둘러 치워야
어촌 양식장은 어류 등이 동사하지 않도록 보온조치
부득이하게 출항할 땐 선박의 구명장비를 미리 점검
Q. 겨울철 산행사고 주의해야?
지난 3년간 1월 산행사고 실족에 의한 골절·상처 많아
이른 새벽 탐방로 얼어 있어 실족·추락 위험 높아져
빙판에 대비해 아이젠·스틱 등 안전장비 반드시 챙겨야
Q. 산행사고 예방요령은?
자신의 체력과 건강 상태 확인한 후 산행계획 세워야
산행 전 가벼운 체조로 근육 등을 충분히 풀어줘야
산행 시 옷과 장갑 등 방한용품과 상비약 준비해야
Q. 비법정 탐방로 사고 주의해야?
비법정 탐방로 조난 위험 크고 사고 시 구조 어려워
비법정 탐방로 자연 보호·등산객 안전 위해 출입 통제
산행 중 통제구역 출입 시 최대 50만 원 과태료 부과
Q. 저체온증 증상과 대처는?
창백해지고 입술이 청색을 띨 때 저체온증 의심해야
중심 잡기 어렵고 발음 부정확할 때 저체온증 의심해야
마른 옷으로 갈아입고 모자·수건 이용해 열 보존해야
Q. 산행 시 조난사고 예방은?
탐방로에 설치된 국가지점번호·위치표지판 확인해야
눈이 쌓이면 원근감 떨어지고 등산로 구분 어려워
조난 등 위급상황 시 자신의 위치를 신속히 알려야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