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전도 가열 양상
이스라엘과 이란의 무력 충돌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란 고위급 당국자와 안보 관계자들에게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휴대전화 등의 정보통신(IT) 기기를 쓰지 말라는 지시가 하달됐습니다.
현지시간 17일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이슬람 혁명수비대(IRGC)와 연계된 기관인 이란 국영 파르스 통신은 이스라엘의 사이버전 가능성을 언급하며 이같이 보도했습니다.
이란 국영 TV는 이스라엘로 불법수집된 정보가 넘어갈 수 있다며 자국민에게 모바일 메신저 왓츠앱을 휴대전화에서 삭제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고 AP 통신은 밝혔습니다.
영국 킹스칼리지런던 전쟁연구학부의 루카시 올레네이크 선임연구원은 "이는 적국이 핵심 인사들을 추적하거나 (통신 내용을) 가로채고 심지어 표적으로 삼는데 (통신망에) 연결된 기기를 쓸 수 있다는 이란 당국의 우려를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13일 이란 내부의 군사 시설 등을 겨냥해 대대적인 기습을 감행한 이스라엘은 표적 공습으로 모하마드 바게리 이란군 참모총장, 호세인 살라미 이슬람혁명수비대(IRGC) 총사령관 등 군부 수뇌부 다수를 우선적으로 제거했습니다.
이란의 핵 프로젝트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는 이란내 과학자와 관련 전문가들도 다수가 피살됐습니다.
이란은 13일에만 이스라엘을 향해 200발의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반격에 나섰지만, 이스라엘은 F-35 스텔스 전투기 등을 동원해 이란 각지 주요 시설을 겨냥해 폭격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란이 속수무책으로 당한 데는 이스라엘 대외 정보기관 모사드에 의해 핵심 인사들의 거처 등 주요 정보가 속속들이 털린 상태였던 것이 치명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스라엘은 첨단 기술을 동원해 주변 적대국 인사들을 도·감청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사이버 공간에서도 이란과 이스라엘의 충돌이 격화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김나연 디지털뉴스 기자 kim.nayeon@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