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생산·송전 시설, 원자력 발전소와 수력발전소 공격 유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미국의 중재 속에 흑해에서의 부분 휴전에 합의했습니다. 전쟁 발발 3년 만입니다.
미국 백악관은 현지시간 25일 보도자료를 통해, 현지시간 23일부터 25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진행된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을 위한 미국과 러시아 간 실무 협상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백악관은 "미국과 러시아는 흑해에서 안전한 항해를 보장하고, 무력 사용을 배제하며, 군사 목적으로 상업 선박을 사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전했습니다.
러시아 크렘린궁 역시 성명을 통해 같은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크렘린궁은 "흑해 협정 이행을 보장하기로 합의했다"면서 상선의 군사 목적 사용 금지를 감시하기 위한 적절한 통제 조치를 수립한다는 방침을 전했습니다.
우크라이나 국방부도 소셜미디어 엑스(X)를 통해 "모든 당사국은 흑해에서의 안전한 항해를 보장하고 무력 사용을 배제하며 상선이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하자는 데 동의했다"며, 미·러 간 합의를 수용했음을 분명히 했습니다.
이번 합의에 따라 정유공장과 석유 저장 시설, 석유·가스관 시설, 발전소와 변전소 등 전력 생산·송전 시설, 원자력 발전소와 수력발전소 등에 대한 공격은 유예됩니다.
다만, 한쪽이 공격 중단 합의를 위반하면 상대가 해당 합의를 즉각 철회할 수 있다는 점도 명시됐습니다. 또한, 합의 기간은 연장이 가능합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현지시간 25일,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브리핑을 하고있다. / 사진 = AP
아울러 백악관과 크렘린궁은 에너지 및 해양 분야에서의 이 같은 합의 이행을 도울 제3국의 중재를 미·러 모두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우크라이나 국방부도 동일한 입장을 피력했습니다.
한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같은 날 기자회견을 열고 "러시아가 합의를 어기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무기와 제재를 요청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러시아가 합의 발효 시기를 두고 이견을 보인 점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됩니다.
러시아 크렘린궁이 미국의 발표 직후, 러시아산 농산물과 비료 수출을 막고 있는 각종 제재가 해제되어야만 합의가 이행될 것이라는 입장을 냈기 때문입니다.
백악관은 이날 실무회담 결과를 발표하며 "미국은 농업(농산물) 및 비료 수출을 위한 러시아의 세계 시장 접근을 복원하고, 해상 보험 비용을 낮추며, 이러한 거래를 위한 항구 및 결제 시스템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러시아 측은 실제로 흑해를 통한 수출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러시아 은행에 대한 제재가 풀려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최유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t5902676@gmail.com]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