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김근한 기자] 치열했던 어린이날 승부를 가른 요소는 올 시즌 신설된 홈 충돌방지법이었다. LG는 10회 1사 3루 끝내기 찬스에서 채은성의 과감한 홈 쇄도로 4년 만에 어린이날 승리를 가져왔다. 두산은 허경민의 실책과 함께 홈 충돌방지법이 적용된 양의지의 오른발 블로킹으로 허망하게 패했다.
홈 충돌방지법은 이제 승패의 중요한 변수가 됐다. 신설된 야구규칙 7.13 홈 플레이트에서의 충돌(b)에 의하면 포수는 자신이 공을 갖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자의 주로를 막을 수 없다. 만약 심판의 판단으로 공을 갖고 있지 않은 포수가 주로를 막는 경우 심판은 주자에게 세이프를 선언한다.
어린이날 끝내기 상황을 포함해 지금까지 총 3차례의 홈 충돌방지법 관련 비디오 판독이 실시됐다. 모두 위 규칙에 의한 포수와 관련된 사례. 공교롭게도 모두 LG와 관련됐다. 지난달 12일 잠실 롯데전에서 11-10으로 앞선 9회 1사 만루 상황. 3루 주자 손아섭이 황재균의 유격수 땅볼 타구 때 홈으로 파고들었다. 하지만 포수 정상호에 태그아웃을 당했고 롯데는 규칙 신설 후 최초로 홈 충돌방지법 관련 비디오 판독을 신청했다.
판독 결과는 원심 유지였다. 오지환의 송구 방향에 따라 불가피하게 주자의 주로를 막았다는 심판의 판단. 관련 규칙에서 포수가 송구를 받으려는 정당한 시도 과정(홈 방면 송구의 방향‧궤도‧바운드에 대한 반응)에서는 홈 충돌방지법 위반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두 번째 사례는 홈 충돌방지법 최초로 판정이 뒤집혔다. 지난달 28일 대구 LG-삼성전 6회. 이중 도루 상황에서 LG 포수 정상호가 2루수 황목치승의 송구가 날아오기도 전에 홈 플레이트를 가로 막아 비디오 판독 끝에 세이프로 번복됐다. 원심은 아웃이었지만 홈 충돌방지법으로 판정이 바뀌었다. 당시 공식 기록은 정상호의 실책이었다. 앞서나가던 LG에 찬물을 끼얹은 결정적 장면.
연장전으로 돌입한 어린이날 맞대결에서는 홈 충돌방지법이 승부를 갈랐다. 7-7로 맞선 10회 1사 3루. 끝내기 찬스를 잡은 LG는 루이스 히미네스의 3루 땅볼 타구 때 채은성의 과감한 홈 쇄도로 승리를 가져왔다. 발단은 3루수 허경민의 송구였다. 홈 송구 자체가 홈 플레이트 왼쪽 높게 치우친 것. 결과적으로 공식 기록이 허경민의 실책으로 나온 이유였다.
포수 양의지는 허경민의 송구를 왼쪽으로 점프하면서 받았다. 그 과정에서 홈 플레이트를 향해 슬라이딩하던 채은성의 오른발을 자신의 오른발로 막았다. 홈 충돌방지법 시행 전 빈번하게 있었던 홈 블로킹이 본능적으로 나온 모양새였다. 심판의 판정은 슬라이딩을 하는 주자를 태그할 때 불필요한 강제 접촉이 나왔다는 것. 양의지가 태그가 살짝 빨랐지만 판정 결과는 세이프였다. 두산의 비디오 판독 신청에도 원심은 그대로 유지됐다.
결국 홈 충돌방지법으로 번복을 피하기 위해서는 야수와 포수의 섬세함이 더 필요하다. 야수들은 급박한 상황에서도 최대한 주자의 주로를 피한 송구를 시도해야 한다. 포수 왼쪽으로 송구가 치우치는 상황을 피해야 하는 것. 포수들도 긴박한 상황에서 나오는 기존 블로킹 습관을 버려야 한다. 괜스레 홈 충돌방지법을 적용시킬 빌미를 만들어줄 필요가 없다.
홈 충돌방지법의 존재 자체가 부상 방지를 위해 포수와 주자들을 안전한 플레이로 유도하는 면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올 시즌 처음 적용되기에 그만큼 시행착오는 예상된 수순이다. 승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순간 내려진 판정은 논란이 불가피 할 전망이다. 현 규정상 엄격하게 상황을 바라볼지 혹은 유연하게 상황을 바라볼지는 심판의 자의적 판단 지분이 크다. 이에 향후 홈 충돌방지법의 세부화가 필요하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다양한 사례를 명시하는 규정의 섬세함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forevertoss@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홈 충돌방지법은 이제 승패의 중요한 변수가 됐다. 신설된 야구규칙 7.13 홈 플레이트에서의 충돌(b)에 의하면 포수는 자신이 공을 갖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자의 주로를 막을 수 없다. 만약 심판의 판단으로 공을 갖고 있지 않은 포수가 주로를 막는 경우 심판은 주자에게 세이프를 선언한다.
어린이날 끝내기 상황을 포함해 지금까지 총 3차례의 홈 충돌방지법 관련 비디오 판독이 실시됐다. 모두 위 규칙에 의한 포수와 관련된 사례. 공교롭게도 모두 LG와 관련됐다. 지난달 12일 잠실 롯데전에서 11-10으로 앞선 9회 1사 만루 상황. 3루 주자 손아섭이 황재균의 유격수 땅볼 타구 때 홈으로 파고들었다. 하지만 포수 정상호에 태그아웃을 당했고 롯데는 규칙 신설 후 최초로 홈 충돌방지법 관련 비디오 판독을 신청했다.
판독 결과는 원심 유지였다. 오지환의 송구 방향에 따라 불가피하게 주자의 주로를 막았다는 심판의 판단. 관련 규칙에서 포수가 송구를 받으려는 정당한 시도 과정(홈 방면 송구의 방향‧궤도‧바운드에 대한 반응)에서는 홈 충돌방지법 위반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두 번째 사례는 홈 충돌방지법 최초로 판정이 뒤집혔다. 지난달 28일 대구 LG-삼성전 6회. 이중 도루 상황에서 LG 포수 정상호가 2루수 황목치승의 송구가 날아오기도 전에 홈 플레이트를 가로 막아 비디오 판독 끝에 세이프로 번복됐다. 원심은 아웃이었지만 홈 충돌방지법으로 판정이 바뀌었다. 당시 공식 기록은 정상호의 실책이었다. 앞서나가던 LG에 찬물을 끼얹은 결정적 장면.
연장전으로 돌입한 어린이날 맞대결에서는 홈 충돌방지법이 승부를 갈랐다. 7-7로 맞선 10회 1사 3루. 끝내기 찬스를 잡은 LG는 루이스 히미네스의 3루 땅볼 타구 때 채은성의 과감한 홈 쇄도로 승리를 가져왔다. 발단은 3루수 허경민의 송구였다. 홈 송구 자체가 홈 플레이트 왼쪽 높게 치우친 것. 결과적으로 공식 기록이 허경민의 실책으로 나온 이유였다.
포수 양의지는 허경민의 송구를 왼쪽으로 점프하면서 받았다. 그 과정에서 홈 플레이트를 향해 슬라이딩하던 채은성의 오른발을 자신의 오른발로 막았다. 홈 충돌방지법 시행 전 빈번하게 있었던 홈 블로킹이 본능적으로 나온 모양새였다. 심판의 판정은 슬라이딩을 하는 주자를 태그할 때 불필요한 강제 접촉이 나왔다는 것. 양의지가 태그가 살짝 빨랐지만 판정 결과는 세이프였다. 두산의 비디오 판독 신청에도 원심은 그대로 유지됐다.
올 시즌 첫 홈 충돌방지법 관련 비디오 판독 신청 사례. 3루 주자 손아섭이 쇄도 중 포수 정상호와 충돌하고 있다. 사진=천정환 기자
홈 충돌방지법으로 판정이 뒤집히는 경우에는 송구를 던진 야수와 송구를 받은 포수 중 한 명에게 실책 기록이 주어질 수밖에 없다. 어린이날의 경우 사실상 허경민의 악송구가 근본적인 문제였다. 아웃 타이밍이었지만 홈 송구가 치우치면서 양의지의 블로킹이 발생했다. 정황상 양의지의 블로킹이 아니었다면 채은성의 발이 반 박자 빨랐을 확률이 높았다. 반대로 두 번째 사례에서는 포수 정상호에게 실책이 주어졌다. 송구 방향에 따라 불가피하게 홈 플레이트를 막은 것이 아니었기 때문.결국 홈 충돌방지법으로 번복을 피하기 위해서는 야수와 포수의 섬세함이 더 필요하다. 야수들은 급박한 상황에서도 최대한 주자의 주로를 피한 송구를 시도해야 한다. 포수 왼쪽으로 송구가 치우치는 상황을 피해야 하는 것. 포수들도 긴박한 상황에서 나오는 기존 블로킹 습관을 버려야 한다. 괜스레 홈 충돌방지법을 적용시킬 빌미를 만들어줄 필요가 없다.
홈 충돌방지법의 존재 자체가 부상 방지를 위해 포수와 주자들을 안전한 플레이로 유도하는 면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올 시즌 처음 적용되기에 그만큼 시행착오는 예상된 수순이다. 승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순간 내려진 판정은 논란이 불가피 할 전망이다. 현 규정상 엄격하게 상황을 바라볼지 혹은 유연하게 상황을 바라볼지는 심판의 자의적 판단 지분이 크다. 이에 향후 홈 충돌방지법의 세부화가 필요하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다양한 사례를 명시하는 규정의 섬세함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forevertoss@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